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때 필요한 우주식물 생산시스템과 우주에서 키워 먹을 수 있는 우주작물을 개발하는데
꼭
필요한 기초실험이었다. 무엇보다 지상에서 실험을 같이 수행한 학생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이 담긴 씨앗이 되길 기대한다.우주에서 쉬 늙는 초파리한참 콩에 푹 빠져있는데 말렌첸코가 이번엔 주황색 ... ...
천문대에서 역사와 문화 배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밤하늘의 모습을 구현한 ‘플라네타륨’이란 방에
꼭
들러야 한다. 바라보기만 해도 천문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조선시대의 해시계인 앙부일구, 계절별 별자리를 볼 수 있는 천구의, 소리를 잡아 주는 파라볼라 집음기도 직접 만져볼 수 있다.별마로 ... ...
땅 위에서 만드는 해저터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지금 거제도와 부산의 가덕도를 잇는 거가대교 공사가 한창입니다. 총 8.2㎞인 거가대교 중 일부는 바다 속을 지나가는 해저터널로 만들어진다고 해요. 그런데 ... 다들 자부심을 갖고 일하고 있어요. 해저터널이 완성된 뒤 차를 타고 지나갈 일이 생기면
꼭
그 분들의 노고를 기억해 주세요 ... ...
키다리아저씨가 '어린이과학동아'를 선물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지난 4월 1일부터 사이언스 메세나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mecenat)를 통해 사연을 받은 결과, 첫 번째 키다리아저씨가 선정되었어요.두근두근~, 콩닥콩닥~. 4 ... 공부방이라 기금도 없고…. 아이들에게 어린이과학동아와 중고생용 과학동아가 필요하답니다.
꼭
!
꼭
! 받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 ...
'탄소 제로 도시'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살면 정말 좋은 점이 있나요?” 그 질문에 필자는 “앞으로 결혼해서 가정을 꾸리면
꼭
이런 집에서 살고 싶다”고 답한다. 개인적으로는 ZESH에 100점 만점에 90점을 주고 싶다. 만점을 받지 못한 이유는 ZESH의 경제성이다. ZESH는 건설될 당시 건축 비용이 평당 약 530만 원으로 일반 고급 주택(약 420만 원 ... ...
2000년 조지프 르두 교수의 기억 재강화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어떤 기억이 회상된 뒤 다시 기억으로 남아 있게 하려면 이런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꼭
만들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당시 르두 교수팀의 연구결과가 관련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 이유는 기억을 없앨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다. 어린 시절 안 좋은 기억이 있거나 ... ...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않니? 그런데 여기에 하나 더! 마지막으로 고래가 해양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꼭
알려 주고 싶어. 범고래몸길이 9.8m, 몸무게 10톤으로 큰 무리를 이루고 산다. 무리와 일생을 함께 보내며 무리만의 방언을 개발해 쓴다 고래는 해양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야. 먹고 먹히는 생태계 ... ...
목성과 즐거운 화상 채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있다.그런 다음 웹카메라를 천체망원경에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를 준비한다. 어댑터는
꼭
필요한 장치는 아니지만 천체망원경과 웹카메라를 정확하고 단단하게 연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어댑터는 천체망원경 판매점에서 구입하거나 플라스틱 관을 이용해 직접 만들어도 된다.목성 촬영의 묘미, 4대 ... ...
과학에 몸을 던진 과학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하이드’의 주인공이야. 나는 선과 악을 분리하는 약을 개발해 직접 먹었지. 약효를
꼭
몸소 체험해 보고 싶었거든. 과학 발전을 위해 내 몸을 바쳐 실험했으니, 과학의 달에 주인공으로 등장할 만하지? 뭐, 약의 부작용으로 가끔 사악한 하이드로 변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응? 그런데 이건 뭐지?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안식처다. 뒷부리숲새는 커다란 엄지발가락으로 사람이 손으로 잡듯이 대나무대를
꼭
잡고 버티고 서서 부리로 줄기에 구멍을 낸 뒤 부리를 집어넣고 낫질을 하듯이 위로 쳐서 줄기를 쪼개 안에 숨어있는 벌레를 잡아먹었다. 윗부리가 둥그렇고 아래쪽으로 휘어진 형태보다 폭이 좁고 일자로 곧게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