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팩시밀리가 기존 전화와 다른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수신자가 메시지를 받기 위해 전화기
옆
에서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즉 수신자와 송신자 사이의 시간적 일치가 필요없게 되었다. 자동응답전화기가 더 발달하면 걸려오는 사람마다 차별적으로 응답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정보의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환부에 도착한 다음 미세칼이나 레이저로 수술을 하는 광경을 상상해 보자. 이때 환자의
옆
에 있는 의사는 머리에 쓴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백배나 확대된 환부를 보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자신은 조그맣게 축소돼 인체내부에 있다는 가상현실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러한 피험자 축소형 ... ...
(3) 안방에서 「비디오 도서관」 영화 빌려봐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사람과 사람간의 통신 형태가 크게 변할 것으로 보인다. 먼 거리에 있는 사람을 마치
옆
에서 대면하는 것처럼 현장감 있게 통화하거나 비디오 가게에 테이프를 빌리러 가지 않고도 비디오 도서관(video library)에 통신으로 연결해 원하는 영화를 보고 대여료를 지불하게 될 것이다.이러한 변화는 업무 ... ...
태양의 영원한 라이벌 전갈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지상 세계에 속해 있었으며 아래쪽 동물 부분은 지하세계에 있었다. 그들은 서쪽 산
옆
에 서 있었는데 머리는 하늘에까지 닿았고 꼬리는 지하세계로 내려가 있었으며 그들의 거친 광채는 어떤 인간도 그들을 바라보고 살 수 없게 했다.바빌로니아의 영웅 길가메쉬가 죽음의 땅으로 여행하는 길에 ... ...
역사상 가장 불행한 수학자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또 하나의 큰 장르는 마방진(magic square)이다. 마방진은 정사각형의 칸에 정수가 배치돼
옆
으로나 위아래로나 대각선으로의 합이 같게 되는 것으로 말한다. 이 정수가 1부터 ${n}^{2}$까지의 숫자로 돼 있으면 n차의 마방진이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3차의 마방진은 다음과 같다. 또 4차의 마방진은 다음과 ... ...
4 속도 따라 엔진이 변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옆
으로 즉각 미끄러지거나 위로 아래로 점프이동, 고속비행중 급격한 감속(마치
옆
비행기에서 보면 순간정지하는 듯한 비행)이 가능한 비행기가 실용화될 전망이다.단기간내에 새로운 개념이 도입돼 혁신기술을 요구하고 있는 것중의 하나는 잘 알려진 우주왕복선이다. 우주왕복선은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의 손에 쥐어진 보리 이삭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다. 이 별은 황도 바로
옆
에 위치한 아주 밝은 별이어서 고대에 황도를 찾는 중요한 지표 역할을 했다. 바빌로니아시대엔 처녀의 허리띠로 알려졌었고, 중국에서는 봄철의 특별한 별로 인도에서는 밝은 것, 램프, 진주 등으로 이 별을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일은 무중력 상태에서 생활하는 것이다. 실제로 각종 연습을 하고 우주로 올라가서도
옆
의 동료에게 물건을 건네주려다 동료의 얼굴을 때리게 되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스타시티에서 무중력 적응연습은 주로 물속에서 한다. 3층짜리 원형 건물의 중앙에 지름 23m, 깊이가 12m의 대형 물탱크가 있고 그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성과 금성은 새벽 아니면 저녁에 밖에 볼 수 없다. 초승달 바로
옆
에 금성은 갈 수 있다. 왜냐하면 행성이 머무는 황도는 달이 천구상에 머무는 길―백도와 거의 일치하기 때문이다. 달은 때때로 행성들을 가리기도 한다는 사실을 참고로 알아 두자.세째 오리온(Orion)자리는 ... ...
대덕연구학원도시 구상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구상 하였다.성기수와 시스템공학 연구소대덕연구학원도시에 가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옆
에 우뚝 서있는 독특한 모양을 한 건물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 소프트웨어개발의 총본산을 자처하고 있는 KIST 부설 시스템공학연구소다.이 연구소와 관련해서 기억에 남는 이가 한 사람있다.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