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등 모두 3억 8905만 1044개의 링크가 나온다. 모든 링크 값을 계산하고 저장하려면 최신
컴퓨터
를 이용하더라도 하루가 넘게 걸린다. 더구나 100회 이상 반복해야 하니 데이터량은 상상을 초월한다. 네트워크 의약학은 다른 용도로도 활용된다. 많은 양을 쓸 때 나타나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비슷한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문득 보이지 않는 공포 ‘방사능’이 떠올랐다. 이 책임연구원은 “MRI는 X-선 촬영이나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할 때 나오는 방사능이 없다”며 기자를 안심시켰다.“MRI로 할 수 있는 것들은 굉장히 많습니다. 올해 말 7T MRI를 설치하고 운전에 들어가게 되면 조금 더 정확한 영상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호치키스 철침)처럼 서로 떨어진 두 부분을 한데 묶어 고정시키기 때문이다.그가
컴퓨터
의 도움으로 설계한 염기 30여 개 길이의 스테이플 가닥들과 긴 DNA 가닥(골격)을 섞어주자 구상한 모양의 2차원 나노 구조물이 만들어졌다. 놀라운 건 먼저 긴 DNA 가닥을 만들고자 하는 모양에 맞게 배열한 게 ... ...
날개 두 겹으로 초음속 뚫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 충격음파는 비행기의 움직임을 방해해 연료를 더 많이 소모하게 한다.왕 교수는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날개를 두 겹으로 만들면 비행을 방해하는 힘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한 날개에서 생기는 충격음파를 다른 날개가 상쇄시키기 때문이다.사실 날개를 두 겹으로 만드는 아이디어는 195 ... ...
음악 DNA로 히트곡 예상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어떤 노래가 유행할까요? 예상하기가 쉽지 않아요. 하지만
컴퓨터
의 도움을 받으면 앞으로 인기 가요를 쉽게 알 수 있을지 몰라요. 영국 브리스틀대학교 연구팀이 지난해 12월 인기곡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했거든요.연구팀은 노래에서 박자와 소리 세기, 화음, 노래 길이 같은 스물세 가지 요소를 ... ...
디지털 시대의 눈 건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줄어 ‘안구건조증’을 유발해. 우리 눈은 보통은 12~15회 깜빡이 는데, 책을 볼 때는 10회,
컴퓨터
모니터나 휴대전화를 볼 때는 7회 정도로 줄어. 눈물은 눈을 깜빡이면서 나오는데 깜빡이는 횟수가 줄면 눈물이 적게 나와 그만큼 건조해지는 거야.
컴퓨터
모니터를 볼 때는 20분 정도 본 뒤 20초 이상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식으로 서로 보완할 가능성이 크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뇌Part1. 뇌 vs
컴퓨터
Part2. 인공 뇌 만들기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Part5. 이사하는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변신 로봇이 되려면 언제라도 필요한 기능을 새로 넣거나 뺄 수 있는 SW 플랫폼, 즉
컴퓨터
로 치면 윈도 같은 OS가 있어야 한다. 로보랩은 ROS와 OPROS라는 두 가지 OS가 있다. ROS는 구글 초기 멤버들이 만든 미국 기업인 윌로개라지가 만들어 배포했다. OPROS는 우리나라 정부를 중심으로 과학자와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모습으로 반복될 수밖에 없지 않겠어요? 그게 영원한 회귀죠.”알고 보니 강사는 원래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다 철학으로 진로를 바꾼 특이한 이력이 있었다. 과학적 상상력이 거꾸로 철학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친 사례다. 강사의 설명이 원래의 철학 개념을 얼마나 온전히 ... ...
거짓말 탐지 MRI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활동이 더 증가한다. 전전두엽은 사람의 모든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는 곳으로,
컴퓨터
로 치면 CPU와 같은 부위다.하지만 거짓말을 할 때 반응하는 뇌 부위는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따라서 뇌공학자들은 사람마다 진실을 말할 때와 거짓말을 말할 때 뇌의 어떤 부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