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d라이브러리
"
팀
"(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랭스톤씨가 지휘하는 미국 국립전파천문대의 천문학
팀
은 지난 1990년 하늘에서 조그마한 고리모양의 전파를 관측하였다. 이와같은 발견은 두번째이며 우리가 하늘에서 찾아보기 힘든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다. 이는 '중력렌즈'로 불린다.이러한 현상이 존재할 수 있다는 최초의 암시는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벗어날 필요도 느꼈기 때문에 예전에 생태사진을 찍은 경험이 있는 사람과는 별도로
팀
을 짰다"고 말했다. 이들에게는 고정급 외에 모든 촬영경비를 지급하고 사진장비도 상당부분 새로 구입해줬다는 설명. 또한 5년 계약이 끝난 후에도 적기는 하지만 판매고의 0.7%를 인세로 지급할 예정이다.이런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개발하고 있는 솔라카 선도국들이다.미국의 GM사가 주최하고 주로 미국의 대학
팀
이 출전하는 'GM선레이스'도 꽤 알려진 장거리 경기다. 스노(눈)벨트지역인 북부 미시건에서 아열대성 기후를 보이는 남부 플로리다까지 장장 2천6백여㎞를 달리는 이 대회에서는 미국 대학생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있다. 이 일은 현재 라이너스박사의 주도로 진행중이다. 한편 모스크바의 핵물리연구소
팀
은 북극의 얼음속을 지나가는 중성미자를 포착하기 위해 검출 장치를 설치해 놓고 있다.그러나 하임 할라리교수가 말했듯이 중성미자물리학은 아무 것도 관측하지 못하면서 계속 발달하고 있다. 지난 몇십년 ... ...
배타의 원리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그러나 과학자들은 여전히 위반사례를 찾고자 시도하고 있다. 사실 케케즈와 그의 연구
팀
의 연구는 지구상의 조건에 국한되었다. 어쩌면 보다 극한 조건하께서는 배타의 원리가 쉽게 무너질는지도 모른다.예를 들어 태양은 중성미자라는 입자를 생산하지만 과학자들이 기대하는 양에 훨씬 못 ... ...
한국과학재단 강홍렬 이사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따로 자금을 마련해 지원하고 있다."대개 교수 다섯분이 한
팀
을 이루게 되는데
팀
이 구성되면 연간 5천만원 규모의 연구비를 3년동안 지원받게 되지요. 그런데 일단 지원을 받으면 적어도 전문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돼야 하고 가능하면 특허를 받아 국내 산업에 도움을 줘야 한다는 부담이 따르지요. ... ...
동물체 내에 유전자 주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집어넣어 형질변환을 시킨 다음, 다시 세포를 몸속으로 투입하는 것이다. 듀크대학
팀
은 외래유전자로 환상(環狀) DNA의 플라스미드를 사용했다. 이 플라스미드는 숙주세포내에서 자기복제없이 일정기간 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다. 그러다가 의외의 충격이 가해지면 유전자의 발현이 시작된다. ... ...
PARTⅣ 국내연구현황 테라와트급 고출력레이저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레이저반도체가공)교수 등이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원자력연구소의 이종민박사
팀
은 레이저응용분야로 최근 각광받고있는 핵연료농축과 동위원소 분리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 레이저에 관한 해외한인과학자로는 미국 마이애미대학의 김진중교수가 구리증기레이저의 권위자로 알려져있다 ... ...
초고속 컴퓨터를 탄생시킬 초전도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0도에서 초전도현상을 확인한 바 있으며(표준연구소 박종철박사
팀
과 서울대 김정구교수
팀
), 이를 바탕으로 조셉슨접합을 이용한 SQID(초전도 양자 간섭장치)를 포항공대와 표준연구소에서 개발중이다. SQID는 '가장 예민한 센서'의 하나로 간질병과 파킨슨씨병을 진단하는데 활용된다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2차 오염에 허덕이게 된다.토양오염의 지표가 되는 생물의 생태와 오염도를 연구하는
팀
이 국내에도 여럿 있다. 이들은 1㎡의 땅을 30㎝ 깊이로 팠을때 잡히는 곤충의 종류와 수 지렁이의 종류와 수, 토양박테리아의 종류와 수를 가지고 그 상관관계를 추적, 지표생물의 생태변화를 연구하고 있다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