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뉴스
"
개
"(으)로 총 21,145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설계 단백질이 생물학 무기?…과학자들 첫 '오용 방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통해 프로그램 코드와 소스를 공
개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분위기를 형성하면 공
개
된 자료를 보며 서로 토의하고 문제가 있다면 미리 자정의 노력을 기울여 예방할 수 있다”라며 “한국은 이제 막 해당 분야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단계라 규제에 대한 목소리가 높진 않지만, 앞으로 연구가 ... ...
"샤워할 때 수압 높이면 물 적게 쓴다"
2024.03.11
것이 샤워 시간 단축과 관련된 이유는 불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또 "이번 연구는
개
인별 비교가 아닌 여러 사람들 간 비교로 진행된 것"이라며 "동일 가구 내 수압 변경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 고압의 샤워기를 사용하도록 권하는 추가 증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의대 교수들 "의대 증원은 입시농단…전공의 위협 중단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운영하겠다고도 밝혔다. 11일 중 전화나 문자메시지로 피해 신고를 할 수 있는 핫라인을
개
통하고 12일부터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병원 복귀를 원하지만 하지 못하고 있거나 괴롭힘을 받고 있는 전공의는 피해 신고를 할 수 있다. 정부는 복귀를 원하는 전공의가 다른 수련병원에서 수련 받을 수 ... ...
[정치에 도전한 과학자들] ①탈북 공학도 박충권 "연구자 평가 다각화해야"
과학동아
l
2024.03.11
제조업 기반 기업들의 기술과 많이 동떨어져 있습니다. 반도체를 전공하는 연구실이 몇
개
없는 것도 한 예죠. 그래서 기술 이전 실적, 창업 실적, 특허 실적 등을 평가 기준에 비중 있게 반영해 다각도로 연구를 평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Q. 이공계 진로에 막 들어선 청년들, 공학도를 꿈꾸는 ... ...
양자 컴퓨터로 양자 자성체 극단 특성 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일반 원자보다 2배 정도 강하다. 리드버그 원자 양자 컴퓨터는 초고진공상태에 최대 126
개
리드버그 원자를 배치해 여러 방향으로 분산컴퓨팅을 수행한다. 하이젠베르크 자성체 모형은 자성체 스핀 간의 모든 방향 (x, y, z 방향) 상호작용을 가정한 모형으로 양자 자성체의 대표적 모델 중 하나다. ... ...
'6번째 대멸종' 현실화?...서식지 좁고 몸집 작은 생물종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에린 소페 영국 옥스퍼드대 지구과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9200종 이상의 화석 29만
개
를 분석해 생물종의 멸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변화 요소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직접 체감될 정도의 기후변화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생물 멸종에 ... ...
사라지고 있는 산호초 4년만에 '완전 회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산호초 생태계가 조성됐다. 연구팀은 복원 속도와 실제 복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12
개
의 복원 지역에서 탄산염 수치를 측정했다. 산호의 골격과 껍데기는 탄산칼슘으로 이뤄져 있다. 탄산칼슘은 칼슘의 탄산염으로 복원 지역에 탄산염이 얼마나 비축돼 있는지 계산하면 산호초가 얼마나 빠른 ... ...
[르포] 中·日 방사성 물질, 국토 최끝단서 감시…인력 부족 고충 토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국토 최남단인 제주 마라도에 위치한 방사선감시기. 이병구 기자 8일 오전 제주 서귀포 운진항에서 남쪽으로 30분 가량 배를 타고 들어간 마라도. 이곳에는 국 ... 등을 기준으로 추가 설치할 예정이며 최종 목표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일단 2028년까지 총 296
개
소 설치가 목표"라고 밝혔다. ... ...
[특별기고] 55년 전 성공한 달 착륙, 왜 번번이 실패할까
2024.03.10
뿔뿔이 흩어져 각각 다른 부서에서 일하고 있다. 수년이 지나 다시 달 탐사선을 계획해
개
발할 때 그때의 다누리 연구자들이 다시 모일 수 있을까. 우리나라가 러시아의 전철을 밟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 ...
밤하늘 숨은 그림 찾기 '별자리'는 점선 잇기 놀이
2024.03.09
조금 바뀌어 오늘날 우리가 쓰는 별자리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현재 표준으로 쓰이는 88
개
의 별자리는 1922년 로마에서 열린 최초의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정해졌어요. 빈 점선 잇기 놀이판 같은 밤하늘에서 별자리라는 선을 찾아낸 것은 옛사람들이 가진 관점이 아닐까요. 이 세상이 어떻게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