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572건 검색되었습니다.
익히지 않은 육류서 '항생제 내성균' 무더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29
미생물학 및 감염질환 학회(ESCMID)'에서 매튜 아비손 영국 브리스톨대 분자박테리아학과
교수
연구팀은 사람을 위한 식품이나 반려동물을 위한 사료로 판매되는생 익히지 않은 육류에서 항제 내성이 있는 병원균이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선행 연구에서 개 사료로 쓰이는 날고기와 개의 항생제 ... ...
햇빛 쬐서 얻는 비타민D, 장내미생물 조절해 암 치료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4.29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분석도 최근 제시됐다. 윤혜령 고대안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비타민D 농도가 낮을수록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지방간 등 만성질환 관련 지표의 수치가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한 논문으로 최근 대한진단면역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 ...
사람 음성 받아적는 AI도 '환각' 보여…"없는 말 지어내"
동아사이언스
l
2024.04.28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모나 슬론 미국 버지니아대 데이터과학과
교수
가 이끈 연구팀은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AI가 받아쓴 글에서 약 1%가 지어낸 이야기이고 그중 일부는 개인정보 조작, 폭력성 등을 드러냈다는 사실을 발견해 연구결과를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 ... ...
中, 역대 가장 상세한 달 표면 지질지도 공개
2024.04.28
지역 지도를 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스 미첼 CAS 지질 및 지구물리학 연구소 부
교수
는 "지질학의 모든 질문은 지질 지도를 보는 것에서 시작된다"며 "새로운 달 지질지도집은 전 세계를 위한 자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달 연구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려는 움직임은 중국이 향후 수십 년 동안 ... ...
의협 "정부가 저질 협박, 뭉쳐 싸울 것"…의대
교수
들은 주 1회 휴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4.28
개 의대
교수
가 소속된 전국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지난 26일 총회 후 "
교수
들의 간절한 목소리를 무시하고 정부가 의대 증원을 발표할 경우 휴진 참여 여부와 휴진 기간에 대해 다시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의료개혁 의지를 강조하며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전병왕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
교수
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 ...
봄 불청객 '알레르기' 원인·진단·치료의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27
증상을 일시적으로 낫게 해주는 것뿐이기 때문이죠. 박중원 연세대 의대 내과학교실
교수
는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제를 쓰면 효과는 있지만 증상을 없앨 정도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특히 음식물 알레르기에는 효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약을 먹고 있다 하더라도 알레르겐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뇌전증, 인공장기로 치료법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27
실렸다. 세르지우 P 파스카 미국 스탠퍼드대 정신의학 및 행동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인공장기 혹은 장기유사체로 불리는 ‘오가노이드’를 이용해 ‘티모시 증후군’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연구 논문을 24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티모시 증후군은 뇌의 신경세포 칼슘 채널에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24.04.27
멸종된 이후 에너지나 전자 개념이 등장하기까지 약 100년을 더 기다려야 했다. 장
교수
는 이를 두고 “요절한 플로지스톤”이라 불렀다. 라부아지에의 화학은 물론 훌륭한 과학이었지만 불필요할 정도로 경쟁 이론을 물리침으로써 과학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었던 기회를 앗아가고 말았다 ... ...
"AI 열풍에 고대역폭메모리 등 첨단 반도체 '순풍' 이어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노용영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는 인터뷰에서 “실리콘이 한계에 도달해 새로운 물질이 필요하게 됐다”면서 “황화물이나 셀룰라이드 같은 신소재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데 아직 황화물을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