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에만 달라붙는 물질로 항암제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면 암 조직만 선택하는 약물 전달체를 개발할 수 있다”며 “특히
뇌
처럼 약물이 도달하기 힘든 조직을 포함한 다양한 표적 세표와 조직에 선택적이고 효율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전달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했기 때문에 수면 시간도 줄었다. 하루 9~10시간 자는 대신 7시간 정도만 자도 충분하게
뇌
의 생리가 진화한 것이다. 따라서 잠을 줄여 얻은 하루 두세 시간 가운데 일부를 운동하는데 할애한다고 생각하면 그렇게 억울한 일도 아니다. 게다가 사람만이 신체 활동을 많이 해야만 건강이 유지되는 건 ... ...
쥐가 움직일 때 변화하는
뇌
신경세포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실시간으로
뇌
영역의 세포 활성화를 관찰할 수 있는 기술로 향후 세포신호전달 연구와
뇌
인지과학 연구에 접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이진형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 "
뇌
회로도 풀어
뇌
전증·치매 잡겠다"
연합뉴스
l
2019.01.11
터졌다는 이유로 평생 누워계셔야 하는 현실이 끔찍하다고 생각했다"며 "그때 직접
뇌
를 연구해야겠다고 생각했고, 오랜 기간을 거쳐 이제 하나둘 성과가 나오고 있어 환자들에 실제 도움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에 두근거린다"고 말했다. ... ...
알츠하이머 악화 원인 알고보니 '
뇌
면역세포 기능 저하'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있었다”며 “신경염증과 자가포식 작용간의 연관성을 계속해서 연구한다면 앞으로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 한층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뇌
는 왜 '작심삼일'에 더 익숙할까
과학동아
l
2019.01.08
굳게 먹은 다짐을 지키지 못하는 이유? 배후에는
뇌
가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새해가 되면 나름의 계획을 세운다. 운동을 시작하거나, 일찍 일어나거나, 게임 시간을 줄이 ... 말했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2019년 1월호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
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 ...
"쥐는 무슨 얘기 하나" 세계 최초 쥐 언어 분석AI ‘딥찍찍’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계획이다. 노이마이어 교수는 "약이 쾌락이나 불쾌감을 어떻게 유발하는지 그리고
뇌
의 활동을 변화시키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면, 중독에 대한 더 나은 치료법을 고안할 수 있을 것"며 “이 연구를 통해 술이나 마약성 진통제인 오피오이드에 중독된 사람을 치료할 방법을 찾고 있다”고 ... ...
세계 최초 기술 들고 라스베이거스로 가는 KAIST 교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활용하는 기술, 배현민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뇌
활성도 측정(fNIRS) 기술 및 근육 피로도 측정기술도 세계무대에 선다. 이와 함께 KAIST 졸업생이 창업한 5개 기업도 함께 CES2019에 간다. 리베스트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유연한 리튬 폴리머 ... ...
"곰팡이에 감염된
뇌
, 치매 걸릴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4
발견했다. 연구팀은 곰팡이가 실제로
뇌
의 기능을 떨어뜨리는지 확인했다. 곰팡이
뇌
염을 일으킨 쥐를 T자 모양의 미로에 넣고 새로운 길을 얼마나 잘 찾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한 결과, 감염된 쥐는 정상 쥐에 비해 새 길을 약 3분의 1 못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리 교수는 “공간 기억력이 ... ...
몸 상태 읽고 곧바로 치료하는 '올인원 칩'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교수는 위 속에 음식이 들어오면 위가 움직이게 되는 걸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얻어
뇌
에 배가 부르다는 전기신호를 보내 자동으로 음식 섭취를 막는 이식장치를 개발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달 17일자에 소개된 이 장치는 비만 치료에 쓰일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