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착한 과학, 행복을 퍼뜨리다과학동아 l201102
- 아름답게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때로는 과학 현장에서, 때로는 과학과 관련이 없는 곳에서 오로지 과학을 나누고 행복을 퍼뜨리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을 만나보자.오늘 과학이랑 친구됐어요지난해 10월 30일 토요일 오후 2시. 강원도 춘천시 효자동에 위치한 어린이 도서관인 ‘담작은도서관’에 4 ...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102
- 사람의 손과 굉장히 비슷해 보입니다. 국내에서 이 방식으로 인간형 손을 개발하고 있는 곳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성균관대 최혁렬 교수팀이 있습니다. KIST도 최 교수팀 연구에 협력하고 있습니다.손가락 형 로봇손의 최대 단점은 제어하기가 까다롭다는 점입니다. 손가락이 다섯 개면 관절은 1 ...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과학동아 l201102
- 허리 부분을 보면 말안장 같이 세로는 오목한데 가로는 볼록하다. 가슴 부위도 볼록한 곳 옆에는 반드시 오목한 면이 있다. 벌어짐과 겹침 없이 전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몸을 움직이며 피부를 관찰해 보면 같은 피부라도 늘어나는 부위와 수축하는 부위가 나뉜다. 양손을 들었을 때 겨드랑이 밑은 ...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102
- 설명했다. 이 효소가 다른 세균으로 퍼지기 쉬운 이유는 이 효소의 유전자가 존재하는 곳이 염색체가 아니라 플라스미드이기 때문이다.플라스미드는 유전물질을 담은 작은 고리 모양의 DNA 조각으로, 독자적으로 증식하면서 세균들 사이를 쉽게 옮겨 다닌다. 마치 포스트잇이 책상 위에도 붙었다, ... ...
- Part1. 왜지구 공학인가과학동아 l201102
- A국과 D국이 배출 의무 대상에 들어간다면 우리도 적극적으로 합의하겠습니다. 이 두 곳이 빠졌는데, 우리만 교토의정서 의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불공정합니다.D국 우리도 새 정부는 그린 에너지에 800억 달러를 투자하고 향후 10년 간 1500억 달러를 관련 연구에 투입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또 ...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과학동아 l201102
- 이 모든 작업들이 환경에 좋을 리가 없다. 정지궤도에 태양반사판을 1조 개 띄우려면 20여 곳의 발사대에서 80만 개씩, 5분마다 20년 동안 쏘아 올려야 한다.10 지구공학을 멈췄다. 그러면?기술적으로, 또는 사회적, 정치적인 문제로 지구공학 프로젝트를 중간에 멈춰야 한다면? 갑작스런 변화로 인해 ... ...
- 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과학동아 l201102
- 전남과 제주는 아직 구제역이 침투하지 않았고 전북은 돼지농장 2곳, 경남도 돼지농장 한 곳만 구제역이 확인됐다. 우리나라 축산업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정부는 현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Part 1. 구제역 전파Part 2. ... ...
- 쓸모없는 열을 전기로과학동아 l201102
- 배기구, TV 뒷면 같은 곳을 통해 무의미하게 사라지는 열을 전기로 바꿀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개발됐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암염으로 만든 나노크리스탈을 텔루르화납에 넣어 열을 전기로 바꾸는데 성공했다.텔루르화납으로 전기를 만들려는 시도는 과거에도 있었지만 이번에 ...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과학동아 l201102
- 우주선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운명을 가를 2%레노는 원자로에서 각각 290m, 1.4km 떨어진 곳에 있는 똑같은 검출기 두 대로 이뤄져 있다. 영광원전의 원자로 하나에서는 1초에 1000경(1019) 개의 전자중성미자가 나온다. 이중 검출기에 잡히는 수는 근거리의 경우 하루에 1000개, 원거리는 하루에 50개 ...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과학동아 l201102
- 받았다. 1853년 나이팅게일은 런던에 있는 여성 간호소의 감독관으로 임명됐고, 그곳의 간호 여건을 크게 향상시켜 명성을 얻었다.통계로 부상병을 구하다1854년 러시아와 연합국간에 ‘ 크림전쟁 ’이 일어났다. 많은 영국 군인이 부상과 질병으로 죽었다. 영국의 국방장관 시드니 허버트는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