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4,569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년 생활 변화시킬 IT제품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301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가동시간 1
초
, 찍은 후 곧바로 촬영이 가능한 간격은 약 0.6
초
다. 내장메모리가 기본으로 탑재돼 있다. 기본적인 카메라 기능에 MP3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음성 녹음도 가능하다. 저소비전력, 저노이즈화의 이 제품은 2003년 세컨드카메라 시장을 이끌어나갈 주요 기기로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01
2002년 9월 벨연구소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사건을 가장 먼저 선정했다. 또한 2002년 9월
초
폐막된 요하네스버그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 소식에 맞춰 인류의 미래를 위한 ‘건강한 과학’ 연구를 주요 업적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말라리아의 게놈 해독이 이 부분에 포함됐다.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01
기
초
생물학에서 질병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세계적으로도
초
기 단계이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면 국내에서도 독창적인 신약 개발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01
이식할 경우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제거한 돼지 4마리를 복제하는데 세계 최
초
로 성공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강원대 수의학과 정의태 교수와 축산기술연구소 임기순 박사, 그리고 미주리대 박광욱 박사가 참여했다.현재는 인간면역 관련 유전자를 돼지세포에 집어넣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01
과학자들은 단백질을 만드는 밑그림인 유전자
초
안을 얻었다. 그러나 유전자
초
안이 곧바로 단백질의 구조 정보까지 말해주지는 않는다. 전통적인 실험 기법으로는 수년이 걸려야 한개의 단백질 구조를 밝힐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적인 방법으로 10만여개에 달하는 인간 단백질의 구조를 밝힌다는 ... ...
미 최
초
위성 익스플로러 발사 45주년
과학동아
l
200301
발사는 취소된다. 우리도 실패의 경험은 있다. 지난 1995년 8월 5일발사된 우리나라 최
초
의 방송통신위성 무궁화 1호 발사 과정에서 보조 로켓의 분리장치가 오작동해 위성의 수명이 반토막 나는 일이 있었다. 그래서인지1996년 1월 14일 예비위성인 무궁화 2호 발사에는 관계자들이 신경을 ... ...
2 국산
초
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01
2002년 8월 20일 처녀비행에 성공했던 국산
초
음속기 T-50이 곧 마의 음속을 돌파할 예정이다. 음속 돌파에 성공하면 T-50은 명실상부한
초
음속기로 인정받으며 한국 항공기 개발역 ...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2 국산
초
음속기 마의 음속 ... ...
자동 조율되는 피아노
과학동아
l
200301
개발해 올해 말에 시판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 피아노는 스위치를 켜고 약 40
초
만 기다리면 조율이 끝난다.피아노에 들어 있는 2백개의 현은 금속 핀에 감겨 있다. 조율사는 음이 낮으면 핀을 감아 현을 더욱 팽팽하게 만들고, 음이 너무 높으면 핀을 풀어 현을 좀 헐겁게 해 줌으로써 음을 맞춰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01
가진 식물 데이지 민들레 질경이 등이 이에 속한다
초
전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로
초
전도 물질을 강력한 자석 위에 놓으면 물질 내부에 반자성이 생겨 그 물질이 공중에 뜨게 된다외계로부터 무기물만을 섭취, 이것을 동화하여 몸을 형성하고 생활을 영위해가는 영양법어떤 원소의 동위원소 중에서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01
결과가 불투명한 이런 사업에 NSF 최대 연구비를 과감하게 투자하는 미국이 역시 기
초
과학 세계의 거인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왜 LIGO 같은 일을 하게 됐느냐는 질문에 책임자 중의 한 사람인 MIT의 와이스는 “아인슈타인을 존경하는 마음에 여기까지 오게 됐다”라고 대답했다고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