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사진이 어떤 감정에 해당하는지 맞혀 보자. 정답은 40쪽에~.표정, 이렇게 활용해요!이제
마지막
으로 표정과 관련된 기술을 소개해 줄게. 표정이 강력한 의사소통 수단이라는 사실을 깨달은 사람들은 표정을 이용해 여러 가지 유용한 장치를 만들고 있어. 예를 들어, 사람이 웃는 표정을 지을 때 사진을 ... ...
신비한 수 π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바쳤다. 무려 320억각형의 둘레 길이를 계산해 소수점 35자리까지 구한 π값을 발표했다.
마지막
숫자 288은 그의 묘비에도 새겨졌다. 이처럼 다각형을 이용해 π값을 얻는 방법은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끝없이 이어지는 π의 신비수학자들은 π값을 구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첫 ... ...
아시아의 핫 아이콘 f(x)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수학동아, 앞으로 어려운 수학이 아닌 재미있는 수학을 많이많이 소개해 주세요. 파이팅~!
마지막
으로 팬과 독자 여러분에게 하고 싶은 말을 남겨 주세요.f(x)가 데뷔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이렇게 큰 사랑 보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라차타’로 여러분께 멋진 무대 보여 드리도록 ... ...
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가기 위해 30cm짜리 김밥을 만든다고 가정하자. 길이가 정확히 30cm인 김을 이용하면
마지막
에 양쪽 꼬리를 잘라내야 하므로 결국 완성된 김밥은 30cm보다 짧다. 김밥 꼬리를 잘라낸 뒤에도 전체 길이가 정확히 30cm가 되려면 김밥을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기다란 DNA가 복잡하게 얽힌 상태인 염색체도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대청도에는 실제로 650년 전쯤 ‘어린 왕자’가 왔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원나라
마지막
황제였던 순제(1320~1370년)다. 그는 일찍이 어머니를 여의고 계모의 품에서 자랐다. 황후인 계모는 자기가 낳은 아들을 황제로 만들기 위해 당시 태자였던 순제를 내쫓을 계략을 세웠다. 계모는 태자가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표면에 어지러운 무늬를 그리고 있다.인근 시장에서 막 사온 신선한 야채와 과일이
마지막
으로 배에 실리고 있었다. 이른 아침 눈을 뜬 연구원들과 승무원들은 뱃머리에 나란히 서서 손을 흔드는 ‘포즈’를 취해줬다. 물론 몇 시간 뒤 닻을 올리고 배는 통가의 탐사해역을 향해 떠난다.“뛰어난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비판한다. 또한 그는 현 정부의 임기 중에 교육정책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예측한다.
마지막
으로 저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나름의 방안과 정책을 제안한다. 그리고 좌파와 우파가 한국 교육문제의 고질적인 병폐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해야 하는 이유와그 방법을 제시한다.글 이준덕 기자 ... ...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지구의 기온변화가 요인들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파악합니다.
마지막
으로 둘의 관계가 양성피드백과 음성피드백 중 어떤 과정과 유사한지를 알아냅니다. 예시답안 1) 제시문 (가)에 의하면 태양복사 에너지의 세기는 흑점의 수에 비례한다. 이를 그래프 ①에서 확인할 수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가만히 들여다보면 피보나치 수열을 찾을 수 있다. 피보나치 수열이란 1.1.2.3.5.8.13…처럼
마지막
두 수의 합을 계속 써 나감으로써 생기는 수열이다. 다시 피아노 건반을 보자. 피아노 건반은 하얀 건반과 검은 건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을 1과 1로 잡는다. 검은 건반은 두 집합으로 뭉쳐 있는데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프랑스 등에서는 여전히 마침표가 아닌 쉼표를 쓴다. 소수 비교를 원해? 47264의
마지막
자리에 0을 붙여 472640을 만들면 자연스럽게 모든 자리 수가 왼쪽으로 밀리면서 처음 쓴 수의 10배가 된다. 자연수는 숫자가 쓰인 위치에 따라 값이 정해지고, 같은 숫자라도 위치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이런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