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린이"(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14년 12월 발사된 일본의 소형 탐사선 ‘하야부사2’가 32억km를 여행한 끝에 지난 6월 소행성 ‘류구’ 상공에 도착했다. 류구는 지구에서 약 3억km 떨어져 있다. 하야부사2는 류구 주변을 돌다가 류구 표면에 소행성 탐사 로버 2대를 내려보내 무사히 착륙 시켰다. 인간이 만든 탐사선이 소행성 표 ... ...
- [과학뉴스] 어린이 사시약시, 뇌 발달 저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어린 시절 사시약시가 뇌 발달에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약시는 특별한 이상 없이 한 쪽 눈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으로, 대개 두 눈의 방향이 다른 사시와 두 눈의 굴절도가 다른 부동시를 동반한다. 에이미 차우 캐나다 워털루대 검안및시각학과 연구원은 사시약시 환자 8 ... ...
- [과학뉴스] 얼음으로 도로 결빙 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조나단 보레이코 미국 버지니아공대 생물의공학및역학과 교수팀은 얼음으로 겨울철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ACS 응용재료및인터페이스’ 9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선 알루미늄판에 1mm 간격으로 10μm 너비의 얇은 홈을 팠다. 그리고 각 홈에 ...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됐어요. NASA의 과학자들은 제한적이긴 하지만 IMAGE 위성과 통신하는 데 성공했답니다.Q.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어렸을 때 짧은 파장의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해 우주를 추적하는 소련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었어요. 그리고 이 방법을 이용해 아버지와 함께 위성을 찾았지요.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힘이 센 미지의 생물일 것이라고 착각해 스티브라는 이름을 붙인 것에서 따왔답니다. Q 친구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스티브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 줄 수 있어서 영광이에요. 친구들도 과학에 흥미를 가져 보세요. 어떤 사소한 발견이든 좋아요. 그 발견이 나중에 인류에게 큰 ...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건강하게 가꿔 주세요! # 끈기와 노력이 빛을 발한 아마추어 과학자들을 보니 어때? 친구들도 지금부터 좋아하는 일에 몰두해 봐! 친구들의 활약이 들려오길 기다리고 있을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Part 1. 인공위성 ...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재밌지? 지금은 아직 창고에서 건조 중인 상태지만 친구들을 만날 날이 머지 않았어. 친구들, 멋지게 변한 내 모습 보러 와 주길 바랄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참고래, 초대형 골격표본이 되다!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Part 2. 고래 골격표본 제작 과정Part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곳이에요. 그런데 이번 취재에서만 특별히 내부를 방문할 기회를 주셨다고 하셨어요. 어린이과학동아 기자가 된 것이 정말 자랑스러운 순간이었죠. 마지막으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김용하 원장님께서 인터뷰에 응해 주셔서 말씀을 나눴답니다. 인터뷰를 통해 환경의 중요성과 동·식물의 멸종이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9월 18일 대전 오월드 동물원에서 ‘호롱이’라는 이름의 암컷 퓨마 한 마리가 탈출했습니다. 수색 작업을 벌였지만, 호롱이는 결국 사살됐습니다. 호롱이 사살로 여론이 들끓었고, 이는 동물원 폐지 논란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과학동아는 이와 관련해 독자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자 10월 11 ... ...
- [과학뉴스] 두 살배기 입속 구강미생물로 비만 예측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후벽균류의 비율이 높고 미생물 조성이 단조로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마코바 교수는 “어린이는 장내미생물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비만의 지표로 여겨지는 미생물 조성이 장보다는 구강에서 나타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리포트’ 9월 19일자에 실렸다. doi:10.1038/s41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