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섞여 있는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집단의 구성원들은 어느 한쪽의 코를 가지는 형태로
진화
한다. 한 계산에 따르면 집단의 12% 정도가 가진 유전형질은 3백년(약 10세대)이 지나면 사라진다고 한다. 1백명이 사는 집단에서 10여명의 코가 작다면 3백년 후 이 집단 사람들은 모두 큰 코를 가진다는 의미다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1세기 SF 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진화
된 인간 형태의 하나다. 과연 인간은 이런 방향으로
진화
할까.가까운 과거를 살펴보면 인간이 미래에 어떻게 변해갈지에 대한 조금이나마 단서를 찾을 수 있다. 한 예로 1960년대 미스코리아와 1990년대 후반 미스코리아의 키를 비교해보면 누구라도 미인의 몸이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자연적인
진화
는 더이상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인간이
진화
의 속도와 방향을 통제하는 시대가 열린다는 말이다. 그리고 현대 유전공학은 이 일을 실현시킬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지난 3월 중순 영국의 세계적인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은 “다음 세기에 ... ...
1. 사랑의 묘약, 냄새와 호르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LH에 의해 생식소에서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정자와 난자는 성숙한다.GnRH는
진화
적으로 매우 오래된 물질로 하등한 동물에서부터 번식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스트(효모)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이분법(무성생식)으로 증식을 하지만, 먹이가 없거나 환경이 나빠지면 두 개체가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것은 동북아시아의 공룡 분포와 그들의 상호연계성을 조사해 궁극적으로 아시아의 공룡
진화
를 밝히자는데 있었다. 몽골팀장은 몽골자연사박물관소장 린첸 바스볼드 박사, 중국팀장은 북경 척추고생물고인류연구소의 지밍 동 교수, 일본팀장은 후쿠이현박물관장 요이치 아주마 박사였다. 필자는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위협할 정도이다. 하지만 소행성은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의 초기 모습이나 행성의
진화
를 설명할 수 있는 정보를 쥐고 있는 태양계의 화석이기도 하다. 태양계의 다른 천체들은 이미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많이 변했지만 소행성은 초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때문에 소행성에 대한 연구는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중생대가 끝날 때까지 약 1억6천3백만년 동안이나 환경에 잘 적응하며 실로 다양하게
진화
했다. 인류의 역사를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us)가 나타난 4백만년 전부터라고 할 때 공룡은 인류가 살아온 시간보다 무려 41배나 오랫동안 지구의 주인이었다. 현재 남극까지 포함해 전세계 모든 ... ...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똑바로 걸어 다니는 사람’이란 뜻)를 발견한 것이다.뒤부아의 생각은 단순했다. 만약
진화
론이 사실이라면 어딘가에 유인원과 인간의 모습을 모두 간직한 공동조상의 화석이 있을 거라는 것. 그래서 오랑우탄이 많이 사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에 달려갔는데, 그의 생각은 적중했다.자바인이 ... ...
27억년 전에 원시세포 존재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10억년이나 더 앞서 있었다면 이보다 더 복잡한 다세포 생물이
진화
하는데 왜 그리 오랜 시간이 걸렸는지와 같은 의문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 ...
우리나라 천문학자들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천억개의 별을 모아놓은 은하만큼이나 밝은 것으로 계산되고 있다.초신성은 무거운 별이
진화
하다가 마지막에 이르러 폭발하는 현상. 천문학자들이 은하단에서 초신성을 찾는 이유는 초신성의 밝기가 변하는 특성을 연구해 은하단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고 은하단 형성의 미스터리를 풀 수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