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길고양이, ‘내시’ 만들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309
집단이 사라졌다. 이에 비해 TNR은 매년 82%를 실시해야 같은 기간동안에 사라졌다.맥카시
교수
는 “길고양이 정관 절제술을 이용한다면 고양이의 본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오로지 임신 가능성만 없애주기 때문에 인도적으로 길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가면이 울었다 웃었다 하네
과학동아
l
201309
슬픈 표정으로, 아래로 향해 있으면 행복한 표정으로 느껴진다고 응답했다. 카와이
교수
는 “실제로 노가쿠 배우들은 물리적으로 똑같은 무표정한 가면을 쓰고 다른 감정을 연기해낸다”며 “‘모나리자’를 가장자리에서 감상하면 그림자 위치가 바뀌어 더 신비롭게 느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 ...
젊은이 부럽지 않은 꽃할배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309
뛰어났다. 다른 비행기의 행동패턴을 예측하는 통찰력 덕분이다.김대수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는 “동물 사회에서도 나이든 수컷이 오히려 암컷에게 인기가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약육강식 사회에서 오래 살아남은 개체를 인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다른 정신능력은 어떨까. 많은 사람들이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
과학동아
l
201309
붉게 부풀어 오르는 모습이 LCD 모니터에 가득 잡혔다.우리의 촬영을 도와주던 알바로
교수
는 방금 전까지의 걱정스러운 모습에서 벗어나 “어메이징(Amazing)”을 연발하는 호기심 가득한 소년이 되어 있었고 나는 순간적으로 그 팔이 내 것이라는 것도 잊고 “좋아!”를 연발했다. 후일담이지만 체체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
과학동아
l
201309
특허가 많이 출원됐다. 자기공명방식이란 2007년 마린 솔라서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가 개발한 기술로, 특정 주파수의 자기장에 공명하도록 만든 코일 쌍을 이용한다.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코일에 교류전기를 흘려보내 특정 주파수의 자기장을 만들면 멀리 떨어진 수신코일이 이에 공명해 ... ...
풀 뜯는 호랑이? 담배 문 참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9
꿀벌들이 떼죽음을 당하기도 했잖아요. 그런데 미국 에모리대학교 자코버스 드 루드
교수
팀의 연구에 따르면, 레진을 벌집에 발라 두면 미생물이 침입하지 못 한답니다. 황제나비나 불나방 애벌레도 저희처럼 살균 작용이 있는 식물을 이용하지요.동물도 참 다양한 방법으로 몸을 보호하는군요. ... ...
[수학뉴스] 폭동과 쇼핑이 똑같다?!
수학동아
l
201309
낮아지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폭동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프라이
교수
는 “폭동 예측 모델은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정확하다”며, “이 모델을 정책 결정에 활용하면 폭동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연구의 의미를 밝혔다 ... ...
해리 스위니
교수
, 볼츠만 메달 수상! 검은 비닐봉투와 수선화의 공통점은?
수학동아
l
201309
자연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접 해 보는 실험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스위니
교수
는 홈페이지(chaos.utexas.edu)와 워크샵을 통해서 학생들이 ‘카오스 현상’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신기한 실험들을 교육하고 있다 ... ...
큐브에서 움직이는 건물까지, 네덜란드 건축에는 OO이 있다!
수학동아
l
201309
휘어지며 다가오는 사람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킨다.그밖에도 카스 오스테르하위스
교수
는 마치 살아 있는 생명체처럼 움직이는 ‘머슬 NSA’ 라는 구조물을 만들기도 했다. 안에 들어 있는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구조물이 스스로 모양을 바꿔가며 균형을 잡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조물에는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09
가상뇌를 만드는 과정에서 뇌의 메커니즘을 더욱 정교하게 이해할 수도 있다. 마크람
교수
는 2012년 6월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기고문을 통해 “뇌가 어떻게 작동되는지 예측함으로써 우리는 뇌의 기능을 모든 측면에서 점점 더 빨리 이해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대상은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