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고등학교
중고
d라이브러리
"
등학교
"(으)로 총 2,698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문명」시대가 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03
계몽은 이에 따르지 못하는 실정. 현재 컴퓨터교육은 전문교육기관의 교육과 대학 중고
등학교
에서 실시되는 일반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문위탁교육기관은 이번에 정보문화센터로 확대 개편된 정보통신훈련센터, 컴퓨터요원훈련센터, 쌍용컴퓨터 부설 교육센터 등 몇군데 ... ...
확산일로의 금연운동과 「5일금연법」
과학동아
l
198803
1인당 담배소비량 세계 6위의 우리나라는 「흡연왕국」이 될지도 모를 기로에 놓여 있다.1988년은 국내외적으로 금연운동이 크게 활성화되는 해가 될 전망이다. WHO가 창립 40주년이 되는 4월 7일은 제1회세계금연의 날(No Smoking Day)로 지정해놓고 있으며 캘거리 동계올림픽이 무연(無煙)올림픽으로 치 ... ...
서울대 전체 공동수석 정성태군 "무엇보다 시간관리를 철저히 했죠"
과학동아
l
198802
'내일의 계획서'를 짜서 자습시간이나 청소시간 등의 활용계획까지 확정했다. 고
등학교
1학년때부터 3학년1학기까지 아침마다 실시하던 1km의 조깅도 2학기에 와서는 시간표에서 제외시켰다. "잠은 6시간 정도로 충분히 잤읍니다. 잠이 부족하면 오히려 공부에 방해가 되니까요. 고교 3년동안 2 ... ...
수학은 인간이 만든 또 하나의 우주
과학동아
l
198802
학생시절을 생각하면 나는 동경대공습, 국대안반대소동, 전시연합대학 따위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솔직히 말해서 언제 어떻게 무슨 책으로 공부를 했는지조차 말할 수 없을 것만 같다. 그당시 나는 수학을 좋아하긴 했으나 평생 수학을 하겠다고 마음먹은 정도는 아니었다. 지금은 종합대학마다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02
세계에서 18번째로 남극에 과학기지를 건설한 한국. 현지모습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본다. 백색의 사막, 인류최후의 대륙으로 불리우고 있는 남극에 우리나라 연구기지가 세워지고 있다. 지난해 12월16일 공사를 시작한 세종기지(The King Sejong Station)는 2월5일 공사를 마치게 된다. 까마득한 태고부 ... ...
견학명소가 된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198802
서울의 창경궁에서 혜화동쪽을 향해 걷다 보면 창경궁담이 끝나는 지점에 국립과학관이란 간판이 나타난다. 입구로 들어가 언덕을 올라가면 5층짜리 본관건물이 우뚝 서있고, 마당에는 증기기관차 전차 등이 전시돼 있다. 이곳 국립과학관은 말그대로 국가에서 세우고 관리하는 과학전시관. 그러 ... ...
한종하 박사에게 들어본다 주입식교육, 언제까지나 계속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802
도입할 수 있읍니다. 1주일에 한번쯤 하는식의 부분적 도입은 큰 마찰이 없을 겁니다. 고
등학교
1, 2학년에도 부분적인 도입이 가능하겠지요. 과학시간이 한 학기에 72시간이니까 이가운데 10시간은 토론식 수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내용은 실험을 주제로 할수도 있고 또는 '공해'와 같은 별도의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02
1987년도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로 미국 매서추세츠공대(MIT)교수인 일본과학자 '도네가와 스스무'(49세)를 선정했다는 발표가 나왔을 때 전문가들 사이의 반응은 뜻밖에도 조용했다. 1976년이래 3년간에 걸쳐 발표된 그의 면역에 관한 새로운 이론은 면역학분야에 하나의 혁명적인 업적이었다. 학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01
한 분야가 되리라고는 거의 아무도 예상을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오늘날 고
등학교
지구과학 교과 내의 천문학 강좌 내에서도 항성의 에너지원을 설명하기 위해서 반드시 등장하여야 하는 존재가 되었다. 천체물리학 세계의 괴물과도 같은 블랙홀이 수수께끼로 남아 있는 퀘이사를 ... ...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01
로킷으로 상징되는 발사체기술은 인류가 가지고 있는 모든 지식의 총화라고 할 수 있다. 발사체개발기술은 우주개발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기술이다. 지상에서 우주공간으로 위성체 등의 구조물이나 인간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수송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송수단이 바로 발사체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