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정
선발
채택
발탁
취사
발췌
채용
d라이브러리
"
선택
"(으)로 총 3,48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602
대부분은 두번째보다는 두개 이상, 그러나 제한된 수의 언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선택
하고 있다. 이같은 세번째의 언어 지원 형태는 대개 그 나랏말과 추가로 영문을 지원하는데,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는 KSC 5601도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네번째로는 어느 언어라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01
각 정보들을 상호 연결해준다. 각 항목에 정보를 입력한 뒤 일과표에 입력된 계획을
선택
하면 관계된 자료들이 모두 나타난다.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바로 집어넣을 수 있어 데이터를 재입력할 필요가 없다.■사이드킥 : 윈도 환경에 맞춰 선보였다. 카드파일 달력 노트 전화걸기 등 다양한 기능을 단 ... ...
윈도95 VS OS/2 윈도95 '깡통'을 '도사'로 만드는 쉬운 사용법
과학동아
l
199601
생각한다면 더욱 그렇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다음 버전인 윈도 95를 쓰는 것 외에 별다른
선택
의 여지가 없다. 습관은 이렇게 무섭다.윈도95를 처음 접한 시기는 작년 3월말이다. 당시 맡은 업무 중에는 MSN(마이크로소프트 네트워크)의 행보와 전략에 관한 분석이 포함돼 있었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 ...
냉장고는 왜 윙윙거릴까
과학동아
l
199601
현재 사용되는 냉장고가 가장 뛰어난 성능을 가진 것은 아니다. 생산자의 의도에 따라 '열등한' 냉장고가 '최고' 로 포장됐다.우리가 흔히 보고 듣고 사용하는 과학기술 ... 이뤄지지 않는다. 제조업자들이 적절한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다고 믿는 것들 중에서만
선택
권이 주어지는 것이다 ... ...
겨울철 실내 스포츠의 꽃 농구
과학동아
l
199601
덩크슛을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당신이 감독이라면 어떤 선수를
선택
하겠는가.게다가 선수로 활동하기에 현격한 무리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코트를 달리는 다섯명 모두가 클 필요는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센터처럼 리바운드와 중앙공격을 담당한 포지션이라면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
과학동아
l
199601
사람에게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를 주는 것이 아니므로 개개인에 맞는 치료방법을 적절히
선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주의사항은 햇볕을 피하고 일광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노년기의 검버섯나이를 먹어 50대에 들어서면 갈색, 흑갈색 또는 검은색의 반점들이 얼굴 앞가슴 손등에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01
프로필을 공개해 주는 PF명령으로 알 수 있는 정보는 거의 없다. 그나마 그것도 비공개를
선택
할 수 있다. 설령 정보가 공개된다고 해도 얼굴을 숨기고 싶으면 얼마든지 가능하다.초기에는 이런 익명성이 낯선 사람들간의 의사 소통에 있어서 쑥스러움을 해소해주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하기도 ... ...
위궤양치료제 타가메트와 잔탁
과학동아
l
199512
사실을 발견했다. 이것은 원하는 목표와는 반대되는 것이었다. 그래도 위산분비만을
선택
적으로 촉진하는 물질이 있다는 사실은 히스타민이 알레르기반응 매개 부위와는 다른 어떤 부위와 결합해 위산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 수용체만을 차단하는 물질을 발견할 수도 있다는 ... ...
멀티환경의 화룡점정 모니터
과학동아
l
199512
필립스 등을 제치고 미국 컴퓨터 전문지인 'PC매거진'이 매년 발표하는 '편집자가
선택
한 모니터'로 선정되기도 했다.10년전 흑백 모니터가 발표되고 486급 PC와 함께 컬러모니터가 탄생되기까지 컴퓨터 사용자들의 사랑을 담뿍 받았던 흑백 모니터는 지난6월초 삼성전자가 생산을 중단함으로써 완전히 ... ...
시민에게 땅을, 도시텃밭을 일구자
과학동아
l
199512
했으나 해충의 천적인 새나 이로운 곤충이 거의 없는 도시환경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
이라고 여겨진다.서울의 도시농업은 결코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예로부터 시민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면면히 이어져 왔으나 지난 수십 년 동안의 급속한 도시화 공업화 과정에서 경시됐을 뿐이다. 이제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