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망
소망
염망
예상
예기
기원
소원
d라이브러리
"
기대
"(으)로 총 5,209건 검색되었습니다.
판다는 원래 ‘육식성’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번 유전자 분석이 멸종 위기에 처한 판다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
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2월 13일 발행된 ‘네이처’에 소개됐다 ... ...
온실가스 배출 ‘절반의 합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노력을 보상해주는 방안에 의견 접근을 이뤄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번 협정은 애초
기대
와 달리 법적 구속력 있는 합의를 도출하는 데는 실패했다. 온실가스 감축의무국인 선진국과 자발적 감축국인 개도국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선진국만 2020년)를 2010년 1월 말까지 제시하도록 했으나 구속력을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4대강이 최초의 실례가 될 전망입니다.”정 교수는 최근 시작된 4대강 사업에 큰
기대
를 걸고 있다. 4대강 사업은 그동안 사실상 방치해왔던 우리나라 주요하천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인 정비사업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하천 정비의 필요성은 늘 제기돼왔지만 예산 문제로 번번이 다른 SOC 사업에 ... ...
전기가 흐르는 누드김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취재를 하느라 밥도 못 먹고 여기저기 뛰어다닌 기자에게 그야말로 군침도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인터뷰 장소에 누드김밥이 차려져 있다는 겁니다. 금강산도 식후경! 먹 ... 의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답니다. 앞으로 나노-바이오 분야에서 활약할 제 모습을 많이
기대
해 주세요 ... ...
온 바다를 누벼라, 아라온 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우리나라 최초로 남극과 북극을 누빌 쇄빙선‘아라온호’가 드디어 부산 앞바다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길이 110m, 폭 19m의 아라온호는 일반 선박보다 3~4배 힘센 엔진을 달고 있어 ... 예정이에요. 성능 시험을 무사히 마치고, 오는 11월 말 남극으로 향할 아라온 호의 모습이
기대
됩니다 ... ...
반갑다, 과학기술위성 2호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오는 7월 말, 나로우주센터에서 우주로 발사될 과학기술 2호의 모습이 공개되었습니다.과학기술위성 2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소형위성발사체 나로(KSLV-1)에 실려 우주로 발사될 예 ... 우리 땅에서 처음으로 발사될 과학기술위 성 2호. 7월 말 성공적인 발사 소식이 들려오길
기대
해 봅니다 ... ...
초록빛 형광 원숭이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그래서 연구팀은 원숭이를 이용하면 인간을 위한 질병 치료법 개발이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
하고 있지요. 즉, 유전자 조작의 결과가 번식을 통해 계속 이어진다면 꾸준히 질병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거랍니다.흠…. 하지만 좀 걱정스러운 게 사실이네요. 영장류의 유전자 조작이 사람으로까지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않는다. 또한 아스팔트는 물을 머금지 않기 때문에 물이 증발하면서 생기는 냉각 효과를
기대
하기 힘들다. 그 결과 에어컨 사용이 늘어나고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어 더욱 더워지는 악순환이 생긴다.이 때 도시 밖의 찬 공기를 끌어들이고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내보낸다면 열섬 현상을 줄일 ... ...
Part 2. 통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피할 수 있다면 피하려고도 해. 부모님의 영향도 커. 부모님 세대에는 아들과 딸에 거는
기대
가 달랐어. 아들은 공부를 잘 해서 성공하기를 바라셨고 딸은 가정을 잘 꾸리길 바라셨지. 그래서 딸보다 아들이 수학을 못 할 때 더 많은 걱정을 하신대. 이런 생각이 남아 있는 한 여자가 수학과 친해지기 ... ...
차세대 나노소자용 ‘반도체 나노결정 도핑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나노리본을 만들었다. 나노리본은 차세대 반도체 나노소자를 개발하는 데 이용될 것으로
기대
되는 재료다.현 교수는“전기적, 광학적으로 나노미터 단위의 반도체를 제어할 수 있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자성과 전자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차세대 반도체(자성반도체)를 만드는 데 쓸 수 있을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