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경험 강조하는 독일의 실용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기계과를 수강하는 학생 수는 4백50명 정도인데 평가고사에 합격해 과목 수료시험을 보는
숫자
는 채 2백명도 안되는 편이다.전문과정에서는 6개의 일반 필수 과목과 3개의 전공 필수, 1개의 일반 실습과 1개의 전공 실습을 이수해야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기계설계에 대한 연구 보고와 전공에 관한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쿼크로만 형성된 ‘쿼크 덩어리’가 될 뿐이다.그러한 쿼크덩어리들은 꽤나 많은
숫자
가 되고 우주를 떠돌아 다니고 있으며 그 중 몇은 가끔씩 지구로 추락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최근 일본의 물리학자들은 그와 같은 덩어리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지만 아직은 확인되지 않았다.쿼크덩어리가 지구의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가진 아령 모양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붙여졌다. 실제 그 모습은 고대의 모래 시계나
숫자
8의 모습, 혹은 먹다 버린 사과처럼 보인다. 아령 성운 중심에 있는 백색의 성운은 14등급으로 작은 망원경으로 찾기에는 너무 어둡다. 이 성운은 약 1천광년의 거리에 있으며 가장 가까운 행성상 성운에 속한다 ... ...
세계 과학기술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시작했는데 초창기엔 분석가들이 일일이 주어진 과학논문에서 직접 인용된 참고논문의
숫자
를 헤아려서 쓰곤 했다.그러나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해 방대한 규모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고 특허에까지 그 영역을 넓혔다. 방대한 기초자료들 속에서 독창성이 풍부한 아이디어와 ... ...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역사시대에 불을 뿜었던 것, 그리고 현재에도 가스를 계속 뿜어내고 있는 것을 포함한
숫자
다.이들 활화산은 대부분 (그림2)에서 처럼 어느 한정된 지역에 줄지어 분포하고 있다. 특히 활화산은 일본열도를 포함하는 환태평양지역과 인도네시아에 밀집되어 있다. 이를 태평양의 '불의 고리'라고 한다. ... ...
얼굴사진으로 카드 범죄 막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공식의 핵심은 카드 임자의 얼굴사진을 개개인의 ID카드에 둘러진 자기띠 위에 하나의
숫자
로 새겨넣는 것이다. 즉 영상단말기가 개인의 흑백사진을 받아들여 이것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인데 보통의 경우 개인의 얼굴 하나를 디지털부호로 바꾸려면 메가바이트급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 ...
2 호흡이 빨라지며 혈관이 수축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측정으로 수면의 깊이를 나타내기 위해 0에서 3까지의
숫자
를 사용한다. 수면의 깊이는
숫자
의 크기와 비례한다. (표)는 소음도에 다른 수면의 깊이를 실험해 통계치를 사용해 나타냈다. 소음도가 35㏈(A)이면 수면의 깊이가 2.4인데 반해 소음도가 55㏈(A)일 때는 수면의 깊이가 2.0으로 낮아져 인간의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특정한 배열을 하고 있을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물론 확률 계산이 매우 복잡해서 쉽게
숫자
로 계산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계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으며, 어떤 상태가 다른 상태보다 확률이 높은 상태인지 짐작할 수 있다. 통계 역학에서 엔트로피는 이 확률과 관계된 양의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만들었다. 고대 그리스 문명이 몰락한 이후 인도와 아랍을 중심으로 대수학, 아라비아
숫자
의 발명 등이 있게 된다. 수학적 방법론은 천체 연구 등에 적용돼 천문학을 한층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킨다. 이밖에 오늘날 개별과학으로 구분될 수 있는 지식들은 자연철학으로 통합되어 있었다. 물리학과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육성하는 등 과학소설활동을 본격적으로 벌인다. 아시모프는 이러한 과학소설 이외에도
숫자
를 헤아릴 수 없는 논픽션 과학교양서 등의 저자로 이름을 떨쳤다. 70이 넘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그가 보여주는 왕성한 집필력과 정열에는 그저 놀라울 뿐이다.소설이라기 보다 과학교과서아서 찰스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