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안타깝게도 먼 바다 수면에서 낮게 점프하며 작은 포말을 일으키던 돌고래는 관찰을 시작하자마자 점점 더 멀리 떠나 시야에서 사라졌지요. 학생들은 아쉬운 마음을 뒤로 하고 제주돌핀센터로 향했어요. 이곳에서 하정주 연구원은 제주남방큰돌고래에 대한 강연을 하곤, 불편한 진실이 담긴 질문을 ... ...
- 붉은 수돗물, 어떻게 없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전국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어요. 상수도관은 땅에 묻은 지 몇 년 만 지나도 녹이 끼기 시작하는데, 그렇다고 이 상수도관을 다 교체할 순 없잖아요. 따라서 청소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해요. 주기적인 청소를 통해 관리만 잘 된다면 상수도관을 더 오래 쓸 수도 있겠죠. 현재 30년이 지나면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여기는 화성, 지구는 응답하라! 우주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친구들은 섭섭박사님에게 로버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각자 로버 모형 키트를 조립하기 시작했어요. 나무 조각으로 된 부품들을 판에서 뜯어낸 뒤, 설명서에 적힌 대로 차근차근 끼워나갔답니다. 부품들의 조립 부분은 크기가 서로 딱 맞아 따로 목공용 풀을 사용하지 않아도 견고하게 만들 수 ... ...
- [핫이슈] 마이펫의 이중생활2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시리즈지요.신작에서는 강아지 ‘맥스’가 동물 행동치료 전문 병원에 가면서 이야기가 시작돼요. 맥스는 주인이 낳은 아들 ‘리암’을 세상의 온갖 위험에서 보호하려 애쓰다 신경이 쇠약해졌거든요. 쉴 새 없이 자기 몸을 긁는가 하면, 리암에게 무슨 일이 생길까 늘 좌불안석이었어요. 인간이 ... ...
- 음식물 쓰레기 어디로 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해서 배출하기 시작했고, 그러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자원화하기 시작했지요. 하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여전히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토양에 묻었어요. 그런데 음식물 쓰레기는 평균 pH 4.7 정도로 산성을 띠어요. 이 때문에 계속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토양에 버리면 토양이 ... ...
- 달 심우주 탐사 전진 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참여해요. NASA가 2028년에서 2024년으로 계획을 앞당기면서 일단 달 탐사 탑재체 연구부터 시작할 계획이지요. 10년 전부터 한국천문연구원이 NASA와 협력연구를 진행하며 신뢰를 쌓아온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Q 아르테미스 계획에 참여하는 이유가 있을까요?달 탐사는 인류의 활동 영역을 넓히는 매우 ... ...
- [출동!반려동물] 동물 행동 훈련으로 반려견의 마음을 살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사이에 이런 음식을 먹지 않도록 집에서 꼭 지지 훈련을 해 주세요.”두부가 걷기 시작하자 원장님은 두부의 속도에 맞춰 나란히 걸었어요. 간식을 허벅지에 두고 두부가 바로 옆에서 걸을 수 있도록 유도했지요. 차가 지나갈 때나 공사장 소리가 날 때에도 간식을 줬어요. 나중에 이런 것들에 놀라 ... ...
- [지구사랑탐사대] 보고, 듣고, 맛보는 특산식물 현장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22일, 천마산군립공원 등산로 입구에서 만난 지사탐 대원들은 첫 만남과 동시에 산행을 시작했어요. 그러다 정금선 박사님이 힌트를 주시면 등산로 중간중간 멈춰 주변에서 특산식물을 찾았지요.특산식물은 어느 특정한 지역에서만 사는 식물을 뜻해요. 우리나라에 사는 4800여 종의 식물 중 ... ...
- 음식물 쓰레기 왜 쌓이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죽는 치사율* 100%의 무서운 병이랍니다. 그런데 2007년,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번지기 시작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지난해 8월 중국을 거쳐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로, 이어서 지난 5월 30일 북한까지 확산됐답니다. 잔반이 이 병의 주요 감염원으로 꼽히는 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의 생명력이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잎이 박쥐 날개를 닮은 박쥐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여성들이 옷에 달던 노리개를 닮았지요. 7월에는 꽃이 있던 자리에 동그란 열매가 맺히기 시작한답니다. 사진길희영(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박사후연구원) 감수선은미(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석사후연구원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