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웰빙 조건 ②눈을 보호해요눈에 쌓인 피로와 눈부심은 시력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인공
빛을 내는 스탠드는 눈부심 방지 장치가 되어 있는 것이 좋다. 공책 역시 빛을 많이 반사하는 순백색보다 상아색이나 크림색이 좋다. ▲ 눈부심을 막아 주는 스탠드.편광필터를 이용해 눈에 좋지 않은 빛은 다시 ... ...
PART 1 수학이 사라진 아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하지만 기본적으로 전자시계와 같다. 그런데 여기에 한 가지가 더 추가돼 있다. 바로
인공
의성이나 기지국에서 일정 간격으로 보내 주는 시간 정보다. 하지만 기지국에서 시간 정보를 수시로 보내 주는 게 아닌데다 휴대전화의 전자시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지성이의 휴대전화 시계는 ... ...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단장 역시 “결국에는 네트워크로 갈 것”이라며 “서로 다른 역할을 맡은 로봇과
인공
위성이 네트워크를 이뤄 임무에 따라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말했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군집로봇은 텔레파시로 연결된 병사에 비유할 수 있다. 유 단장은 적군과 지형 등의 주위 환경을 인식하는 기술과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한바탕 은하수 그림자 찾기 놀이마당이 열렸다. 황도광이나 은하수 그림자는 달빛이나
인공
불빛이 있는 하늘에서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더할 나위 없이 깨끗한 하늘이 열린 것이다.18인치 망원경으로 처음 관찰한 천체는 구상성단 오메가 센타우리(NGC 5139)였다. 은하수 중심에서 오른쪽으로 ... ...
나로호 내년에 세 번째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유지와 보수에 약간의 비용이 들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1, 2차 발사 때 탑재한
인공
위성이 아닌 관측 기능 등을 덧붙인 위성을 실을 경우 비용이 추가될 수 있다”며 “아직 논의 단계”라고 덧붙였다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인간형 전투로봇이 탄생하긴 어렵다. 기계 성능도 부족한데다 전쟁 상황에 걸맞는
인공
지능 기술도 부족하다. 이런 문제 때문에 로봇공학자들은 로봇이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전쟁에 나선 군인들이 안전하게 전쟁을 치를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먼저 개발하고 있다.이런 ‘보조’ 로봇 개발에 가장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로봇에 대항하는 또다른 무기는 해킹이다. 미래 전쟁에서는 여러 대의 다양한 로봇이
인공
위성과 네트워크를 이뤄 움직인다. 따라서 해킹으로 이 네트워크를 장악한다면 적의 병력을 무력화하는 동시에 우리 편으로 만들 수도 있다.앞으로 벌어질 전쟁에서 로봇의 비중이 점점 커질 것은 분명하다.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가진 DNA조각 1000개를 합성해 ‘미코플라스마 미코이데스’라는 세균을 만들었다. 최초로
인공
게놈으로 합성세포를 만들어낸 이번 연구 성과를 계기로 생명과 합성생명이란 무엇인지, 현재 합성생명에 대한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되고 있는지, 과학자들이 생명을 합성하려는 목적은 무엇인지 되짚어 ... ...
First Synthetic Life Form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포트랜드에 위치한 리드 대학의 철학자 마크 비도우는 사이언스 지와의 인터뷰에서
인공
생명체가 창조된 2010년 초여름 현재가 “생물학과 생명공학의 역사를 새롭게 정의하는 순간이다”라고 말했다.벤터 박사는 1990년도에 이미 셀레라 제노믹스라는 회사를 설립해 논쟁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다. ... ...
말라리아 없는 모기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옮기지 않는 모기가
인공
적으로 만들어졌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이유전자 변형 모기가 야생 모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매년 말라리에감염되는 사람은 2억~3억 명에 달한다.최근 미국 애리조나대의 곤충학자 마이클 리엘과 그의 연구팀은 인간에게 말라리아를 옮기지 않는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