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북두칠성처럼 여름밤을 밝히는 행운의 수 7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경우는 그 2개의 홀수점이 시작점과 도착점이 되는 거야. 이런 원리에 따르면 홀수점이
0
개나 2개인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한붓그리기가 불가능해. 다시 쾨니히스베르크의 7개의 다리로 가볼까? 세 번째 그림처럼 7개의 다리를 7개의 선으로, 각 다리가 이어주는 지역을 각각 한 점으로 간단히 나타낼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수학동아로 모여봐’에서는 매달 우수한 수학시 3편을 선정해 왔다. 창간호인 2
0
1
0
년 1
0
월호부터 2
0
11년 6월호까지 수학동아에 소개된 63편의 시 중에서 대상작 1편, 최우수작 1편, 우수작 2편을 뽑았다. 심사와 작품평은 모두 함기석 시인이 직접 해주셨다.집합김은서(광명 광남중 2년)구름들이 모여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최소화해 경제적이고 구조가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다.필즈상도 비눗방울을 좋아해? 193
0
년 1회 필즈상 수상자 2명 중 1명인 제시 더글라스(사진)는 비눗방울 연구자다. 그는 비누막 연구에서 중요한 업적을 세워 1회 필즈상을 받았는데, 닫혀 있는 철사 구조물을 넣으면 항상 막이 생긴다는 것을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작고 발생한 지 1분 내에 소멸한다.이외에도 화재현장에서 연기와 불이 약 2
0
분간 시속 16
0
km로 빠르게 솟구치는 파이어휠(fire whirl)이나 화산이 폭발할 때 나오는 뜨거운 공기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생기는 화산성 돌풍 같은 이색적인 회오리도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토네이도 vs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일벌 중 꿀을 따는 젊은 벌(대략 성충이 된 지 2주쯤 된 벌이 맡는다)은 하루 평균 4
0
~5
0
회 일하러 나간다. 그런데 기억력이 좋아서 처음 꿀을 딴 꽃의 종류와 색을 기억해 두고 적어도 그날 하루는 그 꽃에서만꿀을 모으는 습성이 있다(그 덕분에 꽃가루가 다른 식물의 암술에 붙는 일을 막을 수 있다.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시간이 더 지난 후에 발암 인자로 밝혀질 수 있다. 특히 뇌종양은 잠복기간이 15~3
0
년 정도로 길기 때문에 더 오랜 연구가 필요하다. 김덕원 연세대 의대 교수는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이 안 되는 장소가 없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전자파에 노출되고, 사용하는 전자파의 종류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 ...
명작에 1
000
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때문에 양지는 pH4~5.5 정도의 산성을 띤다. 산성은 종이의 구조를 끊기 때문에 양지는 약 1
00
여 년 사이 서서히 분해된다. 물론 처음부터 중성약품을 써서 만든 고급 ‘중성지’는 예외다.이에 비해 한지는 천연기법으로 만들기 때문에, 보통 pH9.
0
이상의 알칼리성 종이가 된다. 더구나 닥나무의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설명하는 부분이 없다. 우주의 팽창을 설명하는 방정식에 회전과 관련된 부분을 ‘
0
’으로 가정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필자의 이론은 천체의 회전과 끈의 회전 항을 그대로 남겨 두어 실제 우주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우주의 회전이 시간이 지날수록 ‘지수적으로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돈을 내고 무선공유기의 위치를 제공받아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러나 2
0
1
0
년 9월 애플은 스카이후크와 계약을 끝내고 독자적으로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축했다.애플은 전 세계의 아이폰, 아이패드 사용자로부터 Wi-Fi AP와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수집해 사용자에게 위치정보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우주공간에 나가는 입자검출기 가운데 가장 정교한 장비다. 내부에는 지구 자기장의 3
000
배에 이르는 자기장이 형성돼 입자의 이동궤적을 크게 휘게 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지나가는 우주선 입자의 실체를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다. 폴 디랙은 193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연설에서 우주 어딘가에는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