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42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당신을 속도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수학동아
l
2021.06.05
픽쳐스 제공 지난달 19일 전 세계
최초
로 한국에서 개봉해 화제를 모으고 있는 영화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시리즈의 시작인 ‘분노의 질주(2001)’가 개봉한 지 20년째 되는 해에 아홉 번째 이야기를 선보였습니다.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의 주인공 도미닉(빈 디젤)은 여러 사고를 ... ...
[프리미엄 리포트]전 세계 바다가 비어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6.05
MSC 에코 라벨을 받은 기업이 많지 않습니다. 동원참치가 지난해 참치 잡이 회사 가운데
최초
로 MSC 라벨을 받았습니다. 소비자들이 지속 가능 수산물을 더 많이 요구한다면, 회사에서도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봅니다. 국제옵서버 역할을 하고 있는 박남희 씨는 불법 어업을 막기위해 ... ...
“과학과 지식의 공유 누구도 못막아”
과학동아
l
2021.06.05
2015년에는 과학 학술출판사 ‘엘스비어’가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미국에서 사이허브를
최초
로 고소했고 결국 뉴욕 연방지방법원은 사이허브가 엘스비어에게 1500만 달러(약 167억 원)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2017년 미국화학회(ACS) 역시 버지니아주 동부 연방지방법원에 사이허브를 ... ...
바다에 뜨는 해상풍력 기술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있다. 중국은 지난달 말 광둥성 양장(陽江)시 앞바다에 5.5MW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기를
최초
로 설치하고 시험가동을 시작했다. 곽 팀장은 “일본은 이미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수 차례 부유식 해상풍력터빈을 시험했다”며 “최근 세계 풍력기술 트렌드는 10MW 이상급 대형 터빈 개발과 부유식 ... ...
예술품보다 훨씬 예술작품 같은, 신을 쫓는 기계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검출기의 모습. 카르스텐 로트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이 개발했다. 한양대 제공 중력파를
최초
로 관측해 지난 2017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배리 배리시 캘리포니아공대 명예교수가 연구자들에게 설명하며 직접 작성한 실제 칠판도 공개된다. 만물에 질량을 부여한 힉스 입자를 발견해 2013년 노벨상을 ... ...
[랩큐멘터리] 반도체 재료의 대표주자 실리콘 나노기술로 한계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열을 전기로 바꾸는 실리콘 나노선 열전소자도 개발해 지난해부터 KCC 김천공장에 국내
최초
로 공장 폐열로 전기를 만드는 열전발전 실증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실은 항상 회사보다 조금 앞서는 걸 목표로 한다. 대학이 앞서야 회사가 대학의 기술을 바라본다는 생각에서다. 연구실은 한 ... ...
몸집 불리는 미 우주동맹…뉴질랜드도 한국 이어 '아르테미스 협정'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우주활동 분쟁 방지, 우주잔해물 경감 조치 등이 주요 내용이다. 뉴질랜드는 협정에
최초
로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협정의 기초 원칙을 만드는 데는 참여했다. 우주 자원 활용에 대한 기본원칙을 작성하는 데 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뉴질랜드는 다른 7개국과 함께 ... ...
[르포]‘누리호’ 로켓엔진 만큼 복잡한 발사대 "집에 못가면서 개발했죠"
2021.06.01
폭발할 수도 있다. 강선일 나로우주센터 발사대팀 팀장은 “누리호 시험발사체에서
최초
로 적용된 자체 개발 VHD로 시험발사체 발사를 성공한 만큼 기술력을 확보했다”며 “누리호 본 발사에서도 성공적으로 작동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VHD기술은 우주발사체 발사를 운용하는 ... ...
막 내린 국내 첫 환경 정상회의 P4G, 무엇을 남겼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십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덴마크 수도인 코펜하겐은 세계
최초
로 2025년 탄소중립도시를 선언한 바 있다. 자원 절약과 재활용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친환경 경제 모델인 ‘순환경제’로의 전환이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롤프 파옛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훈트 금속의 새로운 존재 가능성
최초
증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한명준 KAIST 물리학과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한명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훈트 금속이라고 알려진 특이 양자 상태의 새로운 존재 가능성을 처음 증명했다고 1일 밝혔다. 훈트 금속은 전기저항 없이 전류가 흐르는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는 신물질이다. 연구팀은 원자 내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양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