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외기
에어
대령
사후
만지기
달기
d라이브러리
"
대기
"(으)로 총 2,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한바퀴 도는데 3시간 타임머신같은 행성열차
과학동아
l
198608
북쪽의 담벽을 따라 안지름 50mm, 전장 3백m의 플라스틱 튜브가 길게 설치되고 튜브 속을
대기
압의 1천분의 1의 아진공(亞眞空)상태로 만듬으로써 진공 공간이 길게 설치되었다.이것이 '살터' 박사가 바랐던 지상의 우주공간이다.이 튜브의 동쪽 끝에는 1.075mm의 아세테이트 얇은 판으로 만들어진 길이 1. ... ...
기계는 상식을 가질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608
타조 그리고 죽은 새는 당연히 날 수 없다. 이에 대해 맥카디는 충분히 농다가 짙은
대기
속에서는 중력이 매우 적다면 타조도 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한편 민스키의 프레임 접근법은 컴퓨터가 사건의 인과적인 차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거의 되지 않는다고 해서 예일대학의 로저 샹크와 ... ...
바다의 탄생
과학동아
l
198608
지표가 식지않고 비가 지표까지 도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그 결과 수증기
대기
는 차츰 자외선에 의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어, 수소는 우주공간으로 흩어져 날아가고 남은 산소는 지표의 산화에 쓰이고 만것일 것이다. 이것은 최근 소련의 금성13, 14호의 탐사로 확인되었다.한편 ... ...
한국의 자동차공업기술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8608
계획인데 그중에는 자동차왕국 미국에만 10만대 이상이 포함돼 있다. 이같은 수출물량을
대기
위해 울산의 현대자동차공장에서는 50초마다 1대씩 차가 만들어지고 있다. 연간 45만대의 자동차생산능력을 갖춘 현대는 늘어나는 국내외 수요를 맞추기 위해 연산 30만대 규모의 공장을 새로 짓고 있다 ... ...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07
법칙을 거역하는 방법은 찾아 낼 수 없다. 중력의 존재를 부인하려고 고층빌딩 꼭
대기
에서 뛰어내려보는 만용을 부려봤자 그 결과가 어떻다는 것은 너무나도 자명한 사실이다. 이처럼 엔트로피 법칙에 따른 결과들을 부정하려 들면 중력부정의 상태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다.저엔트로피 ... ...
자연이 되살아났다.
과학동아
l
198607
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60년대말 도쿄만(灣)은 '죽은바다'로 일컬어졌고 70년대엔
대기
의 오염은 극에 달했으며 아파트단지는 '사막'이라고 불리울정도로 나무들이 없었다.일반시민과 당국의 노력으로 도쿄만에 흘러드는 강들이 깨끗해지자 도쿄만에서는 숭어같은 고기잡이가 성행하고 바다에서는 ... ...
'마법의 냉장고'곧 완성
과학동아
l
198607
증발하는 과정이 되풀이되어 아랫부분이 차가와진다.이 열 파이프를 지면에 묻어두고
대기
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땅속으로 동토가 차례로 확산된다. 저장구덩이 주변에 몇 개의 열 파이프를 묻어두는 것 만으로 마법의 냉장고가 만들어 진다. 물론 유지관리가 필요없이 경비는 매우 싸다. ... ...
우주대폭발의 화석 찾는 '코브'계획
과학동아
l
198607
이것을 발견한 과학자는 노벨상을 받았다.그러나 지상에서 이런 관측을 하기에는 지구의
대기
라는 장애물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떨어지고 신뢰도가 낮아진다. 이에 지구를 회전하는 궤도에 액체 헬륨으로 -2백70℃까지 냉각한 초고감도 관측장치를 적재한 위성을 쏘아올려 3K방사는 ... ...
첨단산업의 첨단공해
과학동아
l
198607
담겨져 있다. 반도체 제조공정을 설명하고 공정마다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반응,
대기
나 물로 배출될 가능성의 유무 등이 설명돼있다.또한 일본정부는 86년 5월20일, 85년도 환경백서를 발간하면서 '과학기술의 진보와 환경문제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반도체산업과 바이오테크노롤지 ... ...
랜새트로 찍은 한반도
과학동아
l
198607
이용되고 있는가도 칼러 화상을 통해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고 있어 육지와 바다 및
대기
에 관한 정보수집·분석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의 토지이용변화를 보여주는 2장의 사진은 각각 1972년(위)과 1983년(아래)에 찍은 것이다. 사진에서 푸른색은 물 또는 산의 그늘을, 붉은색은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