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우주비행사가 찍은 최고의 지구사진 10선
과학동아
l
200806
쉽게 갈 수 없는 섬이라 더욱 아름다워 보인다.사우디아라비아의 화산 지구. 남북으로 약
100
km에 이르는 분화구들이 500만 년 동안 폭발을 반복하며 지금의 화산지대를 형성했다. 가장 최근의 화산폭발은 600년에서 700년 사이에 일어났다. 남아 있는 응회암을 보면 화산 활동이 있었던 시기에는 이 ... ...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06
깨달음을 얻고 일반 독자를 위해 이 책을 썼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박테리아에서
100
m가 넘게 자라는 세쿼이아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의 크기인 지구상 생명체들은 어떻게 오늘날의 모습을 지니게 됐을까.저자는 먼저 ‘걸리버 여행기’의 삽화처럼 전체적인 모습은 그대로 유지한 채 크기만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806
vCJD를 제외한 나머지 CJD는 광우병 소와 관련이 없다는 게 학계의 의견이다.CJD 중 85%가
100
만 명당 1명꼴로 우연히 걸리는 ‘산발성 CJD’(sCJD)다. 평균 60세에 걸려 대부분 7~8개월 이내에 죽는다. 또 CJD 환자에게 사용했던 의료도구를 다른 환자에게 쓰거나 CJD 환자의 조직을 이식받으면 전염되는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06
“지금 30대 건강한 한국인 남성의 게놈을 해독하고 있습니다.”지난 5월 3일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창립
100
주년기념 종합학술대회에 ... 지원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2009년에는 약 1억 원으로, 2014년에는 약
100
만 원만 내면 자신의 게놈을 해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 ...
컴퓨터에서 탄소나노튜브 실험한다
과학동아
l
200806
강철보다
100
배 이상 강도가 뛰어나고 구리보다
100
0배나 전기를 잘 흐르게 해 ‘꿈의 소재’로 불리는 탄소나노튜브. 1991년 일본의 이지마 스미오 박사가 우연히 지름 수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의 대롱형태 튜브를 발견한 뒤 탄소나노튜브는 현재 분야를 넘나들며 나노기술의 총아로 각광받고 ... ...
홀라당~ 뒤바뀐 달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지식에 감탄하고, 고마운 마음씨에 감동한 두 사람. 닥터고글을 위해 특별히 뒤바뀐 달걀
100
개를 만들 수 있는 체험 쿠폰을 주기로 한다. 덕분에 하루 종일 팔이 빠져나가도록 스타킹을 돌리는 닥터고글.“으악~, 닥터고글 살려~ ... ...
유럽, 우주화물선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05
작용시키면 생성되는 화합물 1,3-디페닐트리아젠이라고도 한다녹는점 99~
100
℃의 담황색 결정으로 산에 의해 전위하여 4-아미노아조벤젠이 생성된다녹는점 이상으로 급속히 가열하면 폭발한다고무가 황제·중합개시제(重合開始劑)로 사용한다디아조기(N2=)를 가진 가장 간단한 화합물 결정을 얻는 ... ...
우주여행 꿈꾸는 사람들의 무한경쟁
과학동아
l
200805
한 일등공신이었다. 하지만 케로신을 사용하는 액체로켓은 엔진 한 대를 만드는데 보통
100
억 원이 넘는 비용이 드는데다가 한번 사용한 로켓은 다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미국의 항공우주시장에서는 액체로켓의 단점을 보완할 차세대 메탄로켓 개발이 화두로 등장했다.그동안 ... ...
1. 고유가 시대 기대주 오일 샌드
과학동아
l
200805
엄청난 비용이라 유가가 10달러 후반대였던 10년 전만해도 채산성이 없었지만 유가
100
달러 시대를 맞아 매력적인 아이템으로 변신했다.한국석유공사는 지난 2006년 캐나다 앨버타주의 오일샌드 광구를 하나 사들였다. 총매장량 2억 2000만 배럴 규모로 2010년부터 25년간 하루 최대 3만 배럴씩 생산할 ... ...
5문 5답으로 푸는 전자여권
과학동아
l
200805
읽어오는 데 시간이 걸린다. 아직까지는 판독기가 전자여권을 읽는 속도가 초당
100
kb로 다소 느리기 때문에 전자여권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데 약 10초가 걸린다. 현재 판독기의 속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한편 여권에 전자칩을 심었다고 해서 무조건 전자여권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