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발견되지 않아 원인은 다시 미궁 속으로 빠졌어요.그러다 2014년,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 미셀 제브라 교수는 리차트 구조가 아프리카 대륙판과 아메리카 대륙판이 서로 떨어져 나갈 때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어요. 판 아래에 있던 용암이 지표면으로 올라오면서 돔 형태의 바위층을 만들었고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다른 부서의 여성 연구원들이나 다른 기업에서 연구하는 대학 선후배들과 모임을 만들었고, 꾸준히 만났다. 하지만 여전히 같은 직장, 같은 부서에서 같은 고민을 나눌 수 있는 동료가 절실하다. 김 수석연구원이 입사한 지 20년이 다 됐지만 여성 연구원의 비율은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진학하거나, 특허법과 기술 분쟁을 다루는 법조인이 되기 위해 법학전문대학원에 갈 수도 있다. 다방면에 관심이 많고, 여전히 하고 싶은 게 많아, 앞으로도 인생의 선택지를 다양하게 열어 놓으려고 한다. 다만 나는 한국 정부의 장학금 등 국가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으며 공부를 한 한국인인 만큼 ... ...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생각이었다. 아비투어 결과가 나쁘지 않다는 생각에 나도 모르게 거만해져 있었다. 독일 대학은 출석 체크를 안 하고, 시험도 1년에 한 번만 본다. 그래서 계속 수업을 빠졌다. 그러다 언제부턴가 수업 진도를 따라가기가 벅찼다. 첫 시험 결과, 6개 과목 중 5개 과목 누락. 여기에 개인적인 사정까지 ... ...
- 전통놀이의 수학, 세뱃돈 털이단의 습격!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아, 기다리고 기다리던 설날 연휴. 이 꿀 같은 휴가에 꿀을 빨러 오는 이들이 있었으니, 바로 세뱃돈 털이단이다!하지만 어른들은 생각하지 못한 변수가 있었는디, 바로 이 집안 둘째 딸의 셋째 아들이 어렵게 얻은 고명딸 수동이! 어릴 적부터 수학 천재로 이름을 날렸던 수동이 어떤 활약을 할 ...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모형’을 변형해 ‘좀비 바이러스 확산 모형(SZR)’을 만들었습니다. 최근 영국 셰필드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 학생들은 이 SZR 모형을 변형해 개인이 좀비에 맞서 싸울 때, 군대가 싸울 때, 좀비를 피해 숨었을 때로 나눠 인류의 미래를 점쳤습니다. 그 결과 세 전략 모두 시간의 차이만 있을 뿐 168일이 ... ...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조언을 듣는다. 이외에도 코딩처럼 창업이나 메이커 활동에 필요하지만 어려운 기술은 대학에서 관련 전공을 공부하는 선배가 찾아와 지도하기도 한다.교사와 학생, 선배와 후배 사이의 수평적인 관계도 동아리 인기 비결로 꼽았다. 하 교사는 “예전에는 교사가 모든 걸 가르쳐야 한다고 ... ...
- 작은 세계에선 나지! 마이크로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1월에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로봇이 발표됐어요.주인공은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의 제이미 백 교수가 만든 ‘트라이봇’이에요. 형상기억합금은 특정 온도에서 모양이 변했다가 원래 모습을 기억해 돌아오는 금속인데, 트라이봇은 두 다리 사이 마다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달았어요. ... ...
- 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의 비밀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태양의 자기장 역전 현상이 태양풍의 속도를 높인다고 발표했지요. 또,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데이비드 맥코마스 교수팀은 속도가 느린 초속 500km의 태양풍이 적도 코로나의 검은 구멍에서 나온다는 연구결과를 냈어요. 미국해양연구소 러셀 하워드 연구원팀은 태양에서 1120만km 떨어진 곳에서 먼지 ... ...
- 사람 힘으론 절~대 못 떼어내는 접착제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시연을 했지만, 인간의 힘으로는 도저히 떼어내기 불가능해 보였어요. 빅토리아대학교 제레미 울프 교수는 “이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직물을 더 잘 결합할 수 있게 되었고,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의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