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기
백척간두
위급
모험
누란지위
위태
고비
d라이브러리
"
위험
"(으)로 총 4,426건 검색되었습니다.
뜨아! 꿀벌 초토화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시작하는데…. “이 근처를 벗어나야 해요. 얼굴을 쏘이면 호흡 곤란이 올 수 있어 특히
위험
하니 얼굴을 가리고 최대한 몸을 낮추면서 천천히 가자구요!”말벌이 윙윙대는 위기의 순간에도 우리의 닥터고글은 독자들을 위한 당부의한마디를 잊지 않는다.“여러 분~, 혹시 말벌에 쏘이면 민간요법을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생겼답니다. 지구보호대는 태양계의 모든 소행성을 조사하여 지구에 충돌할
위험
이 있는 소행성을 골라 냅니다. 소행성이 지구 근처에 가까이 오면 인공위성에서 레이저를 발사하여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겁니다. 소행성은 지구를 벗어나 먼곳으로 가겠죠. 지구는 우리가 지킬 테니 어린이 ... ...
폭삭~! 정화조 폭발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무심코 휘발유나 석유, 시너 등 가연성 물질을 그대로 배수구에 버리는 것도 무척
위험
한 일이에요. 그런 물질이 정화조에 모이면 쉽게 폭발할 수 있거든요.” 도시가스관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일어난 사고 현장의 모습. 가스가 폭발하면 이처럼 큰피해를 입게 된다.사건 해결 - 평화로운 세상, ... ...
소행성 찰칵~ 14억 화소 디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혜성이 꽝~ 하고 충돌하면 큰일이 나겠죠? 공룡도 그래서 멸종했잖아요. 지구에 충돌할
위험
이 높은 소행성을 미리 찾아 방향을 바꾸면 지구는 안전할 거예요. 이 카메라는 고화질로 밤하늘을 찍기 때문에 아주 작은 소행성도 잘 찾을 수 있대요. 과학자들은 이 카메라를 2010년까지 4대 더 만들 ... ...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신안선은 20년에 걸쳐 보존처리해 복원을 마쳤다.전남 완도 해저 발굴(1983~1984)항해하기
위험
한 바다로 유명한 어두리 앞바다에서 3만여 점의 유물이 실린 고려시대 완도선을 발굴했다. 우리나라 최초로 발굴된 구조선으로 배의 역사 연구에 중요한 유물이다.전남 무안군 도리포 고려청자 발굴(1995~19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고장난거지요. 혈우병 환자는 한번 피가 나면 멈추지 않고 계속 피가 나와 목숨이
위험
해져요. 염색체 수술을 하게 되면 먼저이환자의 몸에서 고장난 유전자를 들어 내고 정상유전자를몸속에 넣어요. 수술을 받은 환자는 스스로 피를 굳게 하는 물질을 몸 안에서 만든답니다. 이러면 상처가 나도 ... ...
봉도사의 벼락을 피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듣고 보니 천둥번개가 치는 산에서 우산처럼 뾰족한 물건을 들고 있는 것은 확실히
위험
한 일이군요.”“이제야 나를 인정하는구나. 지구에는 매일 800만 번이나 번개가 치고 있고, 지난해 우리나라에는 하루 평균3000번 이상 번개가 쳤느니라. 지구온난화가 심해지면 앞으로 더 많아질 텐데 걱정이 ... ...
우주로 피서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이용해야 해. 뜨거운 수소는 보통 수소보다 더 가볍거든. 산소가 없어서 수소가 폭발할
위험
은 없지만 번개를 조심해. 목성의 번개는 지구의 번개보다 1000배나 강력하거든.수천 킬로미터나 뻗은 구름바다자, 이제 주변을 한번 둘러보렴. 연한 갈색과 분홍색의 구름바다를 볼 수 있을 거야. 비행기를 ... ...
켁! 기절 시키는 게 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후달달~! 나 너무 무서워용!무시무시한 괴력으로 세계 프로레슬링계를 제패한 헐크호관. 보기만 해도 무서워 뒷걸음질친다는 그가 오늘은 웬일인지 벌벌 떨고 있다 ... 옆으로 눕혀야 한다. 의식을 잃었을 때는 약을 강제로 먹이거나 손에서 피를 따는 것은
위험
하므로 하지 말아야 한다 ... ...
시골 곰개미의 도시 탐색기 내 친구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그러니까 이런 곤충이 없다면 먹이사슬의 균형이 깨져서 당연히 그 위에 있는 생물들도
위험
해질 거야.그런데‘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과 함께 도시 곳곳을 누비면서 이런 걱정을 덜었어. 시골처럼 다양하고 많은 친구들은 아니지만 분명 도시 곳곳에도 내 친구들이 살고 있었어. 특히 요즘은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