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규제장치 통해 동물 희생 감소시켜야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과학자들이 면도날이 든 위험천만한 편지를 받았다. 편지를 보낸 사람이 누구인지는 밝혀
지지
않았지만 동물을 이용한 과학실험에 반대하는 극렬 행동주의자들의 소행일 것으로 추측된다. 이 편지에는 편지봉투를 뜯을 때 손가락이 지나게 될 위치에 면도날이 교묘하게 붙어 있었다. 이 사건은 ... ...
칼 포퍼 과학적 발견의 논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담보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하지만 포퍼는 기존 이론에 합치되는 아무리 많은 수의
지지
증거가 있다고 하더라도 논리적으로 이런 증거가 이론의 진리성을 확립해줄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과학의 발전은 기존 이론의 정당성을 부정하는 경험적 사실이 관찰됨으로써, 그 이론이 반증되는 ... ...
4월 다섯 행성 한자리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금성은 내행성이기 때문에 지구에서 보면 태양에서 일정 각도(최대이각) 이상 절대 멀어
지지
않는다. 즉 하늘에서 보이는 금성은 지평선으로부터 최대이각 이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현재 금성은 점차 지평선에서 위로 떠오르는 추세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고도가 좀더 높아질 것이다. 금성이 ... ...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거슬러 올라가는 작업은 사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 없었다면 많은 부분이 채워
지지
않은 퍼즐로 남아있을 것이다. 그의 시각으로 정리된 고대인들의 업적이 그를 통해 우리에게 고스란히 전달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의문점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잘 닦인 투명한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발견한 펜지아스와 윌슨은 행운아들이었다. 현재 우주배경복사는 빅뱅우주론을
지지
하는 가장 중요한 관측적 증거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1978년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기도 했으니 이보다 더 좋을 순 없겠다.우주배경복사는 1989년 발사된 미국의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게 생겨난다는 말이다. 또한 항원의 면역성이 낮아 우리 몸 속에서 항체 형성이 잘 이뤄
지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 개발된 백신은 효력이 없다. 끊임없이 새로 등장하는 컴퓨터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완전한 백신 프로그램이 개발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현재로는 에이즈 바이러스와 C형 ... ...
구장산술 (九章算術)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구성돼 있으며, 책머리에 유희의 서문과 말미에 남병길의 발문이 수록돼 있다.한편 밝혀
지지
않은 책의 기원과 원저자, 이론보다는 경험법칙과 예제 중심의 서술방식, 수많은 철학문학서에 비해 매우 드문 자연과학서로서의 대표적 예 등을 보건데,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만든 소나무의 비중이 0.5이고 바닷물 비중이 1.03이므로 이론적으로 나머지 무게가 보태
지지
않으면 그대로 떠있다는 논리다. 과연 그럴까. 나무의 횡단면을 잘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보면 마치 벌집을 연상시킨다. 육각형 모양이 진짜 나무부분(세포벽)이고 나머지는 빈 공간이다. 나무가 물 속에 ... ...
두명의 과학자와 결혼한 여성 - 마담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그 말에 응대했을 것이나 그녀의 말은 없다. 아니 그녀가 했던 말이 기록에 남겨
지지
않았다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라부아지에와 마담 라부아지에 부부, 마담 럼포드 라부아지에와 럼포드 백작 부부는 동일한 시대를 살다간 과학자 부부들이다. 이 부부들의 공통점은 과학에 대한 대단한 열정을 ... ...
통증 관여하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이에 대항하기 위해 만드는 물질이다. 그런데 DREAM 유전자 때문에 충분한 양이 만들어
지지
못하고, 결국 환자는 통증에 시달리게 된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이를 증명하기 위해 쥐의 DREAM 유전자를 제거했다. 그러자 쥐의 척수에서 상당한 양의 다이노르핀이 생성됐다. 척수는 뇌와 함께 중추신경계를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