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길"(으)로 총 3,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93 대전 엑스포과학동아 l1993년 08호
- 엑스포의 목적은 '일반대중의 교육'에 있다. 인류의 노력에 의해 성취된 발전성과를 전시하고 미래에의 전망을 보여주어야 한다.과학기술올림픽이라 불리는 93대전 엑스포가 8월7일부터 11월7일까지 3개월 동안 개최된다. 우리나라를 비롯1백12개국과 28개 국제기구가 참가하는 대전엑스포는 '새로운 ...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과학동아 l1993년 07호
- 실험 우주왕복선 엔터프라이즈에서부터 작년에 발진을 시작한 엔데버에 이르기까지 우주왕복선 12년의 발자취를 살펴보자.공식적인 우주왕복선은 콜럼비아호지만 기능점검을 위해 사용된 실험기는 엔터프라이즈호. 이 실험선은 비록 우주공간으로 날지는 못했지만 1977년부터 1978년까지 수차례에 ...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3년 07호
- 서울대공원에서는 중국으로부터 백두산호랑이 한 쌍을 들여올 계획인데, 중국쪽 백두산에서 잡은 것이거나 그 후예라면 우리 국토의 최근 거리에서 얻은 개체란 것만으로도 반가운 일이다. 호랑이는 생존지역 접경을 넘나들며 살기 때문이다.약4천3백만년 전(제3기 시신세)에 번영해 있던 미아키스 ... ...
- (3) 보석감정 어떻게 하나과학동아 l1993년 07호
- 한 다이아몬드에 대한 평가는 시대와 나라마다 또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 모두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캐럿(carat) 색(color), 순도(clarity), 커팅(cutting)의 이른바 「4C」는 지금껏 변하지 않는 기준이 돼왔다.중동지역에서 나는 식물의 한 종류인 캐럽(carob)은 세례자 요한이 광야에서 이것으로 요기를 했다 ... ...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과학동아 l1993년 07호
- 언뜻 생각하기엔 이질적이기만 한 재료공학과 정보화 사회.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두 분야의 만남은 필연이다. 과학기술 분야를 거론할 때마다 등장하는 단어가 첨단(尖端)이란 말이다. 국어사전에서는 이 단어에 대해 '물건의 뾰족한 끝'이란 설명과 함께 '시대의 흐름이나 유행 따위의 맨 앞장' ... ...
- 한국 자생 식물 협회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척박한 곳, 건조한 곳을 가리지 않을 만큼 생명력이 강한 야생화는 우리 민족 특유의 생명력을 보여주는 꽃입니다."한국자생식물협회(회장 김창렬)는 우리의 산과 들에 자생하는 식물을 아끼고 사랑하는 이들의 모임이다. 이 모임은 자생식물의 생태와 번식, 육종 재배기술 등을 연구 개발, 사라져 ...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상대성이론, 광양자가설 등으로 20세기 과학계를 대표하는 알버트 아인슈타인. 그를 빼놓고는 현대물리학을 논할 수 없을 정도로 아인슈타인의 존재는 크고도 뚜렷하다. 그에 얽힌 5가지 궁금한 점을 '과학 아사히'에서 전재한다.1. 어릴 때는 왜 열등생이었나아인슈타인(Einstein, Albert)은 1879년 3월 ... ...
- F-16·F/A-18 성능비교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최근 물의를 빚고 있는 차세대 전투기 사업(KFP)과 관련, F-16과 F/A-18을 둘러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차세대 전투기 사업이란 무엇일까. 또 F-16과 F/A-18은 어떻게 다른가.우리나라의 차세대 전투기 사업은 1983년 정부가 세운 FX계획에서부터 비롯되었다. 한마디로 '국산 전투기의 단계적인 자체생산계 ...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우리의 아름다운 식물들이 TV나 신문잡지에 소개되는 일이 많아져 반갑다. 그러나 이때에는 반드시 전문가의 동정(同定)을 미리 받아 올바른 내용을 전달해야 할 것이다.억새와 갈대우리 식물 중에서 이름이 가장 잘못 알려져 있는 것은 '갈대'와 '억새'다. 가을 언덕위에 하얗게 나부끼는 억새를 ... ...
- 생물- 3억개의 폐포 통해 몸 곳곳에 산소공급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사람이 평상시에 호흡할 때 출입하는 공기의 양은 약5mℓ. 그러나 이 공기가 모두 허파에서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⅓정도는 아무 쓸모없이 들어왔다 나가버린다.우리 몸속에는 4백59g짜리 풍선이 두개 있다. 그것은 바로 허파다. 허파는 풍선처럼 아무런 근육이 없기 때문에 수동적인 역할을 할 뿐이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