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성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기질
d라이브러리
"
특징
"(으)로 총 4,511건 검색되었습니다.
2. 한류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혹시 이것이 ‘한류 DNA’가 아닐까?‘조선인은 일본인과 몽고인 중간 유형의 인종적
특징
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들을 일본인이나 중국인 어느 쪽과 동일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894년 경 영국의 저명한 정치가 조지 커즌은 조선과 중국, 일본을 방문한 뒤 이렇게 기록했다고 한다.생물학적으로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전과와 수련장을 베껴서 나름대로 만든 천문학 책이다. 연필로 또박또박 태양계 행성의
특징
을 썼으며 달이 차고 기우는 원리나 별자리 그림도 멋지게 그렸다. 어린 천문학자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미국 유학 시절에 공부하기 힘들 때마다 이 책을 넘겨보면서 ‘이때만 못하면 안 된다’고 하며 나 ... ...
김희선이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입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 BAPA의 장점이다.분석 결과 한·중·일 미인은 각각
특징
을 나타냈다. 한국은 전체적인 얼굴 윤곽은 갸름하지만 입 부분이 약간 나온듯한 모양을 선호한 반면 중국은 전체적인 얼굴 윤곽이 좀더 볼록하면서도 입 부분은 도리어 밋밋하고, 일본은 전체 윤곽이 ... ...
사람냄새 풍기는 자동차 감성공학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키가 같더라도 상대적으로 상체가 길고 하체가 짧은 한국인의
특징
이 반영된 결과다. 30대 한국 남성의 표준 허리둘레는 1030mm로 종전 916mm보다 굵고 앉은키도 981mm로 929mm에 비해 크다. 이 정도 차이가 뭐 큰 문제가 있겠냐 싶지만 좁은 차안에서는 인지능력에 결과적으로 큰 ... ...
국산 기술로 얼음 바다 가르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얼음을 깨는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쇄빙선은 일반 선박과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
이 있다. 연속적으로 얼음을 깨면서 얼음과의 마찰저항을 이겨내고 일정한 속도로 항해하기 위해 일반 선박보다 매우 출력이 큰 엔진이 사용된다. 엔진의 추진력을 이용해 항로를 가로막고 있는 얼음을 ... ...
뇌질환 유전자만 콕 집어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남아 있다.기존 기술과 다른 점맞춤형 유전자 분리기술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두 가지
특징
을 갖고 있다.첫째, 연구실에서 인간유전자 3만5000개 모두를 사용하는 총체적 연구라는 점이다. 지금까지는 연구에 유전자의 일부를 이용하거나, 아니면 수백만에서 수천만 개나 되는 ‘라이브러리’ 개념의 ... ...
[교과연계수업] 피겨 스케이팅, 회전과 점프의 과학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 과학으로 즐기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2편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 입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열렸어요! 많은 종목의 경기가 흥미롭지만, 그중에서도 ‘동계올림픽의 ... 기술에 숨어있는 과학적 원리 ‘각운동 보존법칙’을 설명한다 ▶ 피겨용 스케이트의
특징
을 설명한다 ... ...
추운 계절에는 온돌방이 최고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난방입니다. 공기는 따뜻할수록 가벼워져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밑으로 내려가는
특징
을 갖고 있습니다. 때문에 난로로 데워진 방 안은 위는 따뜻하지만 아래쪽은 춥답니다. 난로가 있는 방에 있을 때 발이 시린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지요. 그런데 발을 춥게 하고 위로 더운 공기를 마시는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물이 변신하는 온도인 0℃. 참 신기하죠?액체 위에 뜨는 고체 얼음얼음의 가장 신기한
특징
은 바로 물에 뜬다는 것이에요. ‘이게 뭐가 신기해’라고 생각하는 친구들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물은 고체가 액체 위에 뜨는 유일한 물질이랍니다. 물은 얼면서 부피가 약 10분의 1 정도 더 커지게 됩니다 ... ...
공룡에 관한 여덟 가지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공룡이새의 조상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은 시조새의
특징
을 비롯해서, 깃털 공룡의
특징
등을 들어서 공룡으로부터 새가 진화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반면에 새가 공룡으로부터 진화된 것이 아니고 공룡과 새는 같은 조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도 있습니다. 새가 공룡의 후손이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