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적은"(으)로 총 3,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철 (2화)포스팅 l20200813
- 등장인물: 주헌성, 안재민, 강채린, 최강민 최강민: 으어... 여기가 어디지? 최강민: 지금 시간은 새벽 4시 30분인데... 최강민: 아까 쓰러진 시각이 저녁 8시이고... ???: 야! 너 가만히 있어!!!!!!!!!!!!! 최강민: 누구세요?! ???: 내가 누군지 진짜로 모르겠어? 최강민: 어? 넌 며칠전에 차사고로 ...
- 나는 신이 (였)다. 3화포스팅 l20200813
- 지금까지의 이야기:운명의 신이였던 데스티드는 나무의 신을 폭력 했다는 누명을 썼다. 위험할 때 펼쳐보라는 친구의 문서를 받고, 능력을 빼앗긴 뒤, 지구형 행성에 추방당한다. 데스티드는 자기가 불량배들과 싸우는(?) 모습을 몰카 찍던 여자애를 만나게 되는데... 2화 링크:http://kids.dongascience.com/presscorps/postview ...
- 씹덕 테스트(빙고)포스팅 l20200813
- 2020년 1월쯤인가 여기친구랑 카톡하다가 무슨 그림방인가(카톡 옾챝)에 초대돼서 여기분들 몇명이랑 얘기했던 적 있언는데 그때 받았던 애니빙고입니다.... 보자마자 했었는데 원본 (ㅊㅊ 사진에 써있) 그때 햇던 것 그당시에 정말 제대로 끝까지 봤던 건 매카1412뿐이었읍니다ㅋㅋㅋㅋ사실..... 감청 보고 한달내에 몰아 ...
- 비슷한 생물 구별하기 - 넓적사슴벌레와 참넓적사슴벌레기사 l20200811
- 안녕하세요? 신민제 기자입니다. 제가 이번에 처음으로 기사를 쓰기 때문에 기사가 좀 이상하거나 어색할 수 있을텐데 기사 많이 써 보신 분들은 지적 좀 해 주세요~! 자. 이제부터 본론에 들어가겠습니다. 이번 기사에서 다룰 주제는 '넓적사슴벌레와 참넓적사슴벌레 구별하기' 인데요, 모두 넓적사슴벌레는 잘 아시죠? 하지만 참넓적사슴벌레는 들어보신 적이 별로 없을 ...
- 마플님,운터님 긂포스팅 l20200811
- 팀샐분들은 그려본적이 거의 없어서 그리기 어렵네요.. ...
- 방금 자다 일어났습니다포스팅 l20200811
- 엉... 왜 잤냐면 제가 공부 다하고 TV본지 30분 정도 됐는데 갑자기 눈이 아픈겁니다... 침침한(?) 느낌은 아니구 눈 주변에 좀 심한 압박감(?) 이 있었어요 근데 제가 예전에도 그런 적이 몇 번 있었어용 그때는 좀 자니까 괜찮아졌어영 그래서 좀 잤어영 한... 1시간 정도 잔 것 같아요 근데 이제 다 나아서 다시TV보는 중입니다 ㅋㅋ ...
- [ ✑ 소설 ] 유기견 회의 / 2화포스팅 l20200811
- 지은이 ; 황단비 1화 링크 ➳http://mkids.dongascience.com/presscorps/postview/229830 - " 아무 의견도 없소 ? " " ... " " 그럼 이쯤에서 회의를 마치도록 하겠소 . 모두 안녕히 주무시오 .. " 7시 반 . 평소보다 1시간 반이나 더 일찍 끝났다 . 나가면서 평소 친하게 지내던 또또에게 말을 걸었다 ...
- [ ✑ 소설 ] 유기견 회의 / 1화포스팅 l20200810
- 지은이 ; 황단비 - 언제적 나는 사랑둥이 막내였다 .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 내가 어쩌다 이런 딱딱한 아스팔트 위에서 자게 되었는지 .. 어렴풋이 생각나는 그 날 밤의 기억은 시간이 지날수록 떠올리려 해도 점점 희미해지고 있었다 . 그 날 저녁 . 가족들은 나를 데리고 밖으로 나갔다 . 목줄을 안하고 나가는 일은 없었기에 당황했지만 , 산책을 한다는 생 ...
- 새 연재: 나는 신이(였)다. 프롤로그 1화포스팅 l20200809
- 주인공: 운명의 신, 이름-데스티드 신의 운명은 가벼운 것만 볼 수 있고, 모든사람들의 운명을 볼 수 있다. 약한 신에 속한다. 시작 배경: 5184-h 포탈을 타고 신이라는 증명을 하면 나오는 신들만의 공간,가즈랜드 시작 년도:지구는 서기2020년, 가즈랜드는 신기707070707070707070년 데스티드는 5성급 호텔에서 체크 아웃을 하려고 문을 ...
- 물 발자국 무서워.... A4지 하나에 물을 10L나 쓴다고???포스팅 l20200807
- 안녕하세요! 박선후 기자입니다. 오늘은 환경에 치명적인 피해를 미세플라스틱 다음으로 주고 있는 "물 발자국" 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물건을 만들 때부터 폐기할때까지 드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 바로 기상수라고 하는데 이것에 우리가 사용하는 물을 더한게 물 발자국이라고 합니다. 저희는 크게 경험해본 적이 거의 없는 물 부족 사태, 현재 세계 여러나라에서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