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시
대전광역시
집대성
전집
충전
회전
큰싸움
뉴스
"
대전
"(으)로 총 4,009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캐나다 탐험대에 도전해보세요 (6월 15일까지 접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5.17
이창욱 기자 "유콘 화이트호스! 오로라를 보러 가자!" "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온
대전
입자가 대기권의 기체와 부딪치면서 신비한 빛을 내는 현상이에요. 어디서든 이 멋진 광경을 볼 수 있으면 좋겠지만, 아쉽게도 오로라는 극지방과 가까운 곳에서만 볼 수 있어요. 위도가 높은 ... ...
[줌인사이언스]탈원전 비판하려는 황 대표는 왜 하필 핵융합연에 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KIST 연구원은 물론 과학계 관계자들의 빈축을 샀다. KIST는 사실 키스트로 발음하는데
대전
유성의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뜻하는 카이스트로 계속 언급한 것이다. 사실 일반인이라면 충분히 착각을 할 수 있는 일이었다. 하지만 정부 대표가 해외에서도 손꼽는 국내 연구소의 50주년 축사에서 범한 ... ...
황교안 "기름 한방울 나지 않아. 남아 있는 에너지 원전밖에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둘러봤다. 이번 방문은 황 대표가 진행중인 ‘민생투쟁 대장정’의 9일차의 일환으로
대전
을 방문하며 이뤄졌다. 황 대표는 핵융합연의 업무보고를 받고 핵융합 연구를 주도한 연구진에게 감사의 인사를 우선 전했다. 황 대표는 “핵융합연구를 시작한 것이 선진국에 비해 30년 이상 늦었다고 ... ...
"과학포기자 만들지 않아요" 함께 읽고 춤추고 실험하는 과학교사들
2019.05.15
이들의 인연은 작년 여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8년 6월
대전
교육과학연구원이 주최한
대전
시 학생과학탐구올림픽 과학탐구실험대회에 참가한 임태연 양은 우수한 성적을 거둬 전국대회에도 참가하게 됐다. 이때 전국대회 준비를 도운 지도교사 중 한 명이 김 교사였다. 임 양은 “당시 주어진 ... ...
[과학게시판] 제3차 한-사우디 원자력공동위 및 제4차 SMART 운영위 참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건설연 관계자를 파견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오는 20일
대전
IBS과학문화센터에서 제428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을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시스템 전환을 위한 연구제도혁신'이란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포럼은 국내·외적으로 과학기술혁신을 도모하는 방식이 변화하는 가운데 ... ...
화기 소음 방지용 귀마개로 총알 발사 위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별을 보던 천문학자와 심장의 정확한 소리를 들으려던 의학자가 처음 제안했다. 1차 세계
대전
이 발발한 이후인 1914년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노르만과 의학자 루시앙 불은 포 소리가 두 지점을 도착할 때 발생하는 시간 차이를 이용하면 포병 진지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후 ... ...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시설 '기장연구로' 건설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5.10
및 산업용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할 목적으로 사업을 설계했다. 실리콘이나 웨이퍼 같은
대전
력 반도체 소자재료의 중성자 핵변환 도핑에도 쓰인다. 원안위는 "최근 발생한 경주, 포항 지진을 반영해 지진안전성을 재확인하고 수문 및 사면 안전성도 상세히 검토, 기준에 만족함을 확인했다"며 ... ...
'KAIST 1회 교육혁신의 날' 이태억·문일철 교수 교육혁신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우수 사례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혁신의 날’ 행사를 연다. KAIST는 10일 오후 1시
대전
유성구 본원에서 ‘제1회 2019 KAIST 교육혁신의 날’을 연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KAIST가 교육 혁신을 이룬 교원을 포상하고 격려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마련한 행사다. 우수 사례를 학내 구성원과 외부와 ... ...
[600호 맞은 과학과 기술]표지로 본 한국 과학기술史 50년…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교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는 사실을 알리는 사진을 담았다. 이듬해인 1974년 현재
대전
소재 대덕연구단지의 당시 명칭인 ‘대덕연구학원도시’ 건설계획이 시작되는 내용으로 대덕연구단지가 들어설 곳의 조감도를 표지로 선정했다. 1975년 6월호에는 한국 최초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 ...
전국 5개 대학에 ‘시스템 반도체 융합전공’ 신설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대학은 새로운 시스템 반도체 융합전공을 신설하고 산학 협력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대전
과 수원, 포항 등 반도체 제작 지원이 가능한 공공 나노팹을 중심으로 중소 팹리스 지원도 강화된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연구장비 활용 지원사업 등과 연계해 중소, 창업 팹리스의 공공나노팹 활용 부담을 70%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