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한계
분야
테두리
경계
한도
범주
뉴스
"
범위
"(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리 변화까지 알아차리는 전자피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4
지금까지 1kPa 이하 낮은 압력에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전자피부가 개발된 적은 있지만, 광
범위
한 측정이 가능한 인공피부를 개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교수는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스마트 인터페이스 기반기술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령 ... ...
[ESC의 목소리 (11)] 합리적 질서 속의 평범함을 꿈꾸며
2017.03.26
과학기술정책 읽어주는 남자들) 과학기술정책 이슈를 광
범위
하게 다루는 팟캐스트/페이지 운영자의 입장에서 과학기술계의 합리적 질서란 무엇을 의미할까. 우리 컨텐츠가 주로 다루는 대상이자 내 스스로의 정체성이기도 한 대학원생/신진연구자 집단(a.k.a 청년연구자)이 경험하는 현실에 ... ...
LIG넥스원, 국내 최초 '디지털 빔포밍' 기술 개발한다
포커스뉴스
l
2017.03.22
협약식을 가졌다고 22일 밝혔다. 양 기관은 공동 기술개발 사업을 추가적으로 발굴, 협력
범위
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다양한 신호들이 혼재된 전파 환경에서 원하는 신호를 정확히 식별하는 선택적 신호수신기술은 미래 전자전의 핵심 기술로 불린다. 특히 최근 디지털 빔포밍 기술의 ... ...
MS 임원이 말하는 ‘코딩 교육’
동아사이언스
l
2017.03.22
사람은 그렇지 않잖아요. 사람은 분명 배움의 한계가 있고, 이해할 수 있는 지식의
범위
가 한정적이죠. 그러니 이젠 ‘사람이어야만 할 수 있는 일’에 눈을 돌려야 해요. 기계들의 완벽한 기초 작업에 사람의 ‘감성’과 지적 판단을 더해 더 좋은, 더 나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말이죠. 회사(MS)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민감) 부족한(또는 수용체가 둔감) 유전형을 지닌 결과 사회적 기준에서 정상이라는
범위
밖의 욕구를 지니게 되고 그 결과로 이어진 행동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들이 꽤 될 것 같아 안타깝다. 나 자신은 물론 타인의 행동도 웬만하면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 관용을 보여야하지 않을까. ※ ... ...
암 정복 화학치료법의 4가지 유망 후보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7.03.19
췌장암, 전립샘암에 대한 임상시험도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로드 교수는 “너무 광
범위
한 적용은 자칫 암세포에 내성을 기를 수 있다”며 “어떤 암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지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세 번째로는 체내에서 종양 형성에 ... ...
베스트셀러의 비밀 인공지능이 풀다
과학동아
l
2017.03.19
다른 감정선(감정의 흐름을 높낮이로 표현한 것) 모양의 수는 3개에서 많게는 30개까지
범위
도 너무 넓었다. 지난해 미국 버몬트대 앤드류 레건 교수팀은 인공지능을 이용해 이야기의 감정선을 정리하고 분류하는 방식으로 인기 있는 소설의 공통점을 찾고, 이 연구결과를 ‘유럽 물리학 저널 데이터 ... ...
결핵 치료제 내성 잡는 기술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7
시간을 고통 속에 지내야 된다. 어렵게 복용한 2차 약물마저 내성이 생기면 ‘슈퍼결핵(광
범위
내성 결핵·XDR-TB)’이 발병하고 사실상 완치는 어려워진다. 들로름 팀장은 파스퇴르-릴리 연구소를 거쳐 2009년 한국파스퇴르연구소에 온 뒤 현재까지 결핵 내성치료에 몰두하고 있다. 에티오나미드의 ... ...
드디어 우리 곁에 온 테슬라...SW로 확 뒤바꾼 자동차 패러다임
2017.03.14
여지 없이 전기 차에 있지만 최근 테슬라의 움직임은 배터리와 전기를 기반으로 한 광
범위
한 에너지 대체 수단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 회사가 올 초 이름을 ‘테슬라모터스’에서 ‘테슬라'라고 바꾼 것도 이와 관련 있다. 기가 팩토리나 에너지 저장 시스템 (ESS, energy storage system)은 테슬라의 목표가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동굴에서 남동쪽으로 4000km 떨어진 중국 땅에서 두개골들이 발견됐고 그 형태가 예측
범위
내에 들어 있는 것이다.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장-자크 후블린은 “이번 중국 화석은 (데니소바인으로 보기에) 장소도 딱 맞고 시기도 딱 맞고 특징도 딱 맞는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정작 발견자들은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