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뉴스
"
시스템
"(으)로 총 8,750건 검색되었습니다.
CNN "누리호 발사로 한국 우주개발 미래 열려" 로이터 "우주 기반 6G통신 주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2027년까지 최소 4번의 발사를 추가로 앞두고 있다”며 “한국의 위성기반 항법
시스템
과 6G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는 계획의 핵심”이라 소개했다. 누리호가 무기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한국 정부가 부인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AP통신은 “한국은 10대 경제대국으로 반도체나 자동차, 스마트폰 ... ...
신임 기상청장에 유희동 '정통파 기상인'…방사청장엔 엄동환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방위산업 기술지원센터장을 임명했다. 엄 신임 청장은 육사 44기로 고려대에서
시스템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방위사업청 전차사업팀장과 한국기계연구원 위촉연구원을 지냈다. ...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양방향교신 성공 "투입능력 검증"...독자 우주개발 능력 적용 첫 시범사례는 '큐브위성 사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의 ‘랑데브’, 오현웅 조선대 스마트이동체융합
시스템
공학부 교수팀의 큐브위성 ‘스텝큐브-2’, 기창돈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의 큐브위성 ‘스누글라이트-2’ 등이다. 항우연은 성능검증위성 궤도 안정화가 마무리되는 이달 29일부터는 조선대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도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겼습니다"
과학동아
l
2022.06.22
설비다. 결국 2008년 제작한 엔진을 2016년경 처음 시험했고. 2019년에서야 누리호 엔진
시스템
시험이 끝났다. 75t급 액체엔진 개발에 7년 이상의 시간을 쏟았다. 오랜 시간이 걸려도 75t급 액체엔진 개발에 몰두한 이유는 이후 더 큰 추력을 내는 데 이 엔진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누리호의 경우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는 '이들' 꿈도 함께 싣고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1일 오후 4시 전남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발사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끊임없이 풀기 ... 하이록코리아, 누리호 단열재를 개발한 위즈텍, 지상제어
시스템
을 개발한 유콘
시스템
등 수많은 우주 분야 중소기업도 사업에 참여했다 ... ...
"누리호 발사 성공 기준은 초속 7.5km 700km 상공에 위성 올려놓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42분 후에 11분간 남극 세종기지와 처음 접속하는데 이때 기본적으로 위성의 위성항법
시스템
(GPS) 정보를 받는다. 위성이 예정된 경로로 제대로 지나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위성의 고유 번호인 비콘 수신은 4~5시간 지난 후에 남극 세종기지에서 교신하면서 알 수 있다. 위성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 ...
[생중계] 누리호 오후 4시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기업 꿈꾼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7)발사부터 위성 분리까지 생생히…누리호 생중계
시스템
을 만들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6) '백곰 미사일의 혼' 누리호에도 들어있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5) 우주발사체 전자장비 이어주는 신경망을 책임지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4) ... ...
누리호 오후 4시 발사 확정 "날씨·우주물체·준비 상황 양호"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오전 연료와 전기 계통을 중심으로 점검을 거쳤다. 발사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항법
시스템
까지 관장하는 '발사체의 두뇌'인 에비오닉스’에 대한 외부 전원을 인가하고 점검을 진행했으며 추진제와 헬륨 충전을 위한 점검도 완료했다. 발사 4시간 전부터는 액체 산소와 연료 주입이 ... ...
과기정통부 "누리호 준비 상태와 기상 상황, 오늘 발사하기 적합"...추진제 충전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정상 판단되면 발사 10분 전 ‘발사자동운용(PLO)’ 기능을 구동시킨다. PLO는 발사관제
시스템
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뤄지는 발사준비 작업으로 발사 전 마지막 단계다. 75t액체엔진 4개를 묶어 만든 1단의 추력이 300t에 도달하면 고정장치에 해제 명령이 떨어지고 누리호가 이륙하게 된다. ... ...
[누리호 2차 발사]발사와 관련된 세 가지 과학기술 상식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의 성능 검증을 위한 첫 번째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두 연료
시스템
의 장단점을 상호보완하기 위해 결합하는 방식도 있다. 2013년 국내에서 발사한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Ⅱ)는 1단에 액체연료, 2단에 고체연료를 사용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1단과 산화제탱크의 모습.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