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59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SNS 사용에 지쳐가고 있다면
2021.07.17
것이 어쩌면 더 소중한 인지적 자원의 낭비일지도 모르겠다. 사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뇌가 세상 모든 것에 주의를 주지 않고 적당히 부주의하고 적당히 까먹게 만들어진 것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 내가 놓칠지도 모르는 것들이 애초에 대단한 것들이 아니라면 이를 미리 두려워 할 필요도 없을 ... ...
미 CDC 자문단, 면역력 약한 사람에게 부스터샷 검토
연합뉴스
l
2021.07.16
등 백신에 줄어든 반응을 보이는 이들에게는 추가 백신 접종이 적합할 수 있다"면서 "
우리
가 보기에 이는 안전하며 면역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 ...
남극에 온실을 지었다...지구서 조종하는 우주인용 식물 재배 시스템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방식으로 온실을 보낸다는 청사진이다. 슈베르트 DLR 연구원은 “일론 머스크에게
우리
가 설계한 남극 온실 활용이 가능한지 일론 머스크에게 물어볼 것”이라고 말했다. ● 흙·태양광 없는 우주 식물 재배...진격의 ‘스타트업’ NASA는 1980년대부터 지구 환경이 아닌 극한 환경에서 작물을 ... ...
"배터리 용량 2.6배 늘리는 전처리 용액 개발"
연합뉴스
l
2021.07.15
대비 2.6배 이상의 용량을 갖는 음극 소재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우리
가 사용하는 전자 기기는 배터리 완충 시 배터리 충전량이 100%로 표시되지만, 이는 사실 최대로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중 10∼30%가 사라진 수치다. 배터리의 생산·안정화 공정에서 처음으로 충전할 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얼마나 많은 논문이 잘못됐을까
2021.07.15
자체가 위협받는 지금과 같은 열악한 현실 속에서, 논문의 연구진실성 문제는 끊임없이
우리
를 괴롭히게 될 것이다. 물론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있다. 이미 학술 출판의 문제를 통해 살펴보았듯이 논문의 사전심사제도를 없애고 논문을 사후심사하는 것이다. 블록체인은 그런 논문출판의 ... ...
치명적 전이암 차단 가능? 암세포 '혈관 침입' 막는 단백질 발견
연합뉴스
l
2021.07.15
주전자를 모르고 만졌을 때 (반사적으로) 손을 떼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우리
몸의 근육 세포, 지방 세포, 상피 세포 등은 보통 각자의 정해진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다. 예외는 몸 안을 돌아다니며 병원체와 싸우는 혈구 세포와 돌연변이로 전이 능력이 생긴 암세포다. TRPM7은 혈류의 ... ...
"통곡 식품, 체중·혈당·혈압 관리에 도움"
연합뉴스
l
2021.07.14
분석됐다. 중성지방이란 콜레스테롤과 함께 혈액 속에 있는 지질(lipid) 중 하나로
우리
가 섭취한 칼로리 중 당장 필요하지 않은 것은 중성지방 형태로 바뀌어 지방세포에 저장되었다가 필요할 때 에너지로 전환돼 사용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영양학회(American Society of Nutrition) 학술지 '영양학 ... ...
WHO 자문단, 유전자편집 국제기준 제정 권고
연합뉴스
l
2021.07.13
WHO가 3년 안에 이번 권고 사항을 검토하겠다면서 "인간 유전자에 관한 연구가 깊어질수록
우리
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과학이 모든 사람의 건강을 더 잘 지켜내도록 보장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전자 편집이란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거나 염기치환을 함으로써 돌연변이를 ... ...
"확진자 0명에 사로잡히지 않겠다" '코로나19와 공존'으로 전환하는 국가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출연해 “코로나19는 토착화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오 위원장은 “많은 전문가들은
우리
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함께 살아가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며 “결국 독감처럼 백신을 맞으며 코로나19와 함께 살아야 한다”고 내다봤다. 면역학자인 이왕재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도 최근 유튜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고인류학자 니지준 교수는 기사에서 “학술지 측에서 논문을 최대한 빨리 출판하고
우리
의 새로운 연구방법을 존중해주기로 약속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논문 내용에 토를 달지 않고 무조건 실어주겠다는 곳을 찾다 보니 ‘혁신’이라는 무명의 신생 학술지에 이르렀다는 말이다. 이들이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