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뉴스
"
차이
"(으)로 총 5,09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 퀀텀닷으로 암 진단하는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20.04.04
날아가는 것과 비교해보면 퀀텀닷으로 태양전지를 만들었을 때 최종 전력 생산량에서 큰
차이
가 생기게 된다. 정 교수는 “퀀텀닷은 크기를 조절하면 1000nm 이상 파장의 빛들도 흡수할 수 있는 만큼 이론적으로는 지상에 도달하는 태양 스펙트럼의 전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10년 광전환 ... ...
올해는 볼 기회 놓친 가장 큰 보름달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달의 거리는 40만6394km로 2만2000km 이상 멀어진다. 천문연은 두 달의 크기는 약 14% 정도
차이
가 난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국내 대부분 지역에선 맑은 밤하늘에서 점점 커지는 달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7일 서울 기준으로 달이 뜨는 시간은 오후 5시 49분이며, 가장 높이 뜨는 ... ...
원자 하나까지 세밀하게 보는 가장 정교한 '나노입자 촬영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확인했다. 기존에는 볼 수 없어서 추측만 해왔던 나노입자의 미세한 구조와 표면 특성
차이
를 처음 ‘눈으로’ 확인한 것이다. 이번 연구를 이끈 IBS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진의 모습이다. 맨 오른쪽 위가 공동교신저자인 박정원 IBS 연구위원이고 가운데가 공동1저자인 김병효 IBS 연구위원이다. ... ...
"개학+검사 지연=대구지역, 코로나 종식 최대 3개월 늦어질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반면 비 신천지 시민의 감염율은 0.08%로 극단적으로
차이
가 났다. 연구팀은 이 두 그룹의
차이
를 반영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신천지 교인의 코로나19 감염 확률은 교인이 아닌 사람에 비해 9.3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 모델에 4월 6일 개학을 할 경우를 가정해 얼마나 많은 환자가 ... ...
전세계 코로나19 환자 100만명 눈앞…감염병 100만명은 무엇을 의미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세계 메르스 환자는 1167명으로 집계된다. 같은 코로나바이러스이지만 환자 숫자는 크게
차이
난다. 2014년 서아프리카 지역을 휩쓸었던 에볼라와 2002년 11월 발생했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도 마찬가지이다. 사스의 경우 2002년 11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유행을 하며 전 세계 8096명의 환자가 ... ...
약 300만년 전 인류의 조상 '루시' 두뇌 유인원에 더 가까워
연합뉴스
l
2020.04.02
정보를 처리하는 통합 중추인 두정엽(頭頂葉)과 후두엽(後頭葉) 조직에서 인간과 가장 큰
차이
를 보이는데, 후두엽의 일차시각피질 앞 경계에 초승달 모양의 고랑인 월상구(月狀溝)를 갖고 있다. 이 월상구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에서 뒤로 밀려나기 시작해 현생 인류에게서는 아예 사라지는데,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의 구조적 특징과 침투 경로를 차단하는 치료 전략
2020.04.02
다르듯, 사스바이러스와 메르스바이러스의 스파이크단백질 모양은 서로 다르다. 이 모양
차이
로 인해 두 바이러스는 서로 다른 수용체를 활용해 숙주세포와 결합한다. 사스바이러스는 ‘ACE2(Angiotensin Converting Enzyme2)’, 메르스바이러스는 ‘DPP4(Dipeptidyl Peptidase4 또는 CD26)’를 수용체로 활용한다(Cui et ... ...
300만년전 아기의 '늦게 자란 뇌'가 인류와 유인원 운명 갈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것은 인지 및 사회 기술 습득 시간이 길었다는 뜻”이라며 “현생인류와 비슷한 이
차이
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를 현생인류와 비슷한 행동을 하게 만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300만 년 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의 뇌를 복원한 영상(왼쪽)과 현생 침팬지의 뇌를 비교했다. 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전염병은 왜 계절을 탈까?
2020.03.31
계절성을 보이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다. 많은 전염병이 계절에 따라 발생 빈도의
차이
를 보이는데 그 정도와 시기는 제각각이다. N. Desai/사이언스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정부의 부정확한 정보가 감정적 공포 더 키웠다…메르스 사태로부터 얻은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20.03.30
인식도는 성별
차이
가 없었다. 사는 지역과 교육 및 소득 수준, 직업에 따른 위험 인식
차이
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한국에선 정서적 위험 인식이 더 빠르면서도 더 오래 지속된다는 것을 발견했다”며 “정부에 대한 낮은 신뢰가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친 만큼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신종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