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7,73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07
상승하는 현상으로서, 관이 얇을수록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줄기의 물관은 지름이
약
75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로 매우 가늘기 때문에 물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물은 다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더 가는 잎맥으로 퍼진다. 나무에 대한 몇 가지 상식 나무에 대해 평소 갖고 있던 궁금증을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07
연구 결과가 생물학 분야 국제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벌은 0.1초간 몸을
약
38번이나 떨어 동료들이 위험한 곳에 다가가지 못하게 알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샌디에이고대 생물학과 제임스 니 교수는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꿀벌이 날갯짓으로 긍정적인 신호만 전한다고 알고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07
미칠 영향은 당장은 그리 크지 않을 거란 얘기다.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약
화학과 크리스토퍼 보이트 교수도 “개별 유전자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최적의 설계를 한 유전자 키트(특정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의 모임)를 미생물에 도입해보면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 ...
2020년 글로벌프론티어연구, 인간과 기술의 경계가 무너진다
과학동아
l
201007
두루마리식 전자책을 들고 다닐 수 있다.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2020년경 세계적으로
약
500억 달러(
약
60조 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위 ‘소프트 일렉트로닉’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는 셈이다. 이때쯤이면 대다수 전자회로와 부품도 접거나 둘둘 말 수 있는 기판으로 바뀔 전망이다. ... ...
녹색 지구를 위해 우리가 할 일
과학동아
l
201007
지구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될 것입니다.위와 같은 사항이 제10차 생물다양성 협
약
총회에서 내려진 결론임을 알려드리는 바이며 오랜 시간 동안 여러 갈등 문제들을 해소하고자 함께 힘써주신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는 바입니다. 이상으로 총회의장 유진곤이었습니다. ... ...
떳다! 화석 삼총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선생님과 김종헌 교수님의 도움과 많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뜨거운 뙤
약
볕 아래서 무거운 망치와 돌을 들고 대여섯 시간을 쭈그려 앉아 작업하는 것은 쉽지 않았어요. 게다가 지루한 작업을 반복해야 해서 답답하기도 했지요. 대충 보고 넘기고 싶은 마음도 생기고요. 이번 경험을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별명으로 불리는 잉카 제국의 유물이야. 잉카는 지금부터 580년 전인 1430년부터
약
100년 동안 이어진 나라인데, 이 시대에도 라마는 친숙한 동물이라 이렇게 황금 장식품으로 만들어졌단다. ▲ 시판왕 귀걸이와 금딸랑이 (시판왕 무덤박물관)금으로 된 유물이 잉카에만 있던 것은 아니야. 펠리노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06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환경적인 요인이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현재 전문가들은
약
물의 농도를 조절해 일일히 모니터링을 하지 않아도 개인에게 알맞은 복용량을 찾기 위한 공식을 알아내 검증하고 있다. 김 교수는 “앞으로 여러 유전자 간의 복합적인 관계나 환경적인 요인까지 수치화할 수 ... ...
게놈 통째로 바꾼 인공생명체 첫 탄생
과학동아
l
201006
완벽하게 밝혀냈다. 그래야 제대로 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이코이즈의 DNA 염기는
약
100만 쌍에 달한다. 이어 마이코이즈의 게놈과 동일하게 복제하기 위해 퍼즐처럼 DNA 조각들을 맞춰 완성했다. 인공 게놈을 만들기 위한 핵심 기술은 얼마만큼 정확한 순서대로 DNA 조각들을 잘 꿰맞추느냐에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06
이들처럼 11자리의 ‘임시 인식표’를 받은 이름 없는 국군 전사자의 유해
약
3900구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날을 고대하며 잠들어 있다. “기초과학 튼튼해야 유해발굴 성과 높아” “0.01% 가능성만 있어도 끝까지 도전합니다. 최후 실종자 한 사람까지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저희의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