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성
d라이브러리
"
둘임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20여년전 파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나이를 속이고 출품한 유치원생의 그림이 성인들의 작품을 제치고 그랑프리를 차지했다. 당연히 프랑스 화단은 발칵 뒤집혔다. 이 사건은 ‘추상화의 아름다움은 보기 나름 아닌가’라는 대중들의 의혹을 확인시켜주는 사례인 것처럼 보였다.그러나 반대로 객관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화성이 새해 벽두부터 떠들썩하다. 우리나라 시각으로 1월 4일 오후 1시30분 화성은 지구에서 날아온 방문자, 스피릿을 맞이하면서부터 시끌시끌하다. 스피릿이 맡은 임무는‘화성의 물찾기’. 물을 찾아 90일간의 일정으로 화성표면을 누비고 있다. 왜 화성에서 물을 찾으려는 것일까? 과연 스피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근작 ‘나무’가운데 한편 ‘내게 너무 편한 세상’에는 아침마다 서로 자신을 알아봐 달라고 말을 걸어오는 자명종과 텔레비전, 스스로 알아서 주인의 식사 시중을 드는 토스터와 냅킨이 등장한다. 일상의 모든 사물들이 마치 살아있는 생명처럼 행동하며 인간에게 ... ...
트레비식, 철도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1804년 2월 21일 영국 남웨일즈 탄광촌으로 사람들이 하나 둘 모여들었다. 이날은 증기기관 제작자 리차드 트레비식(Richard Trevithick)이 자신이 새로 제작한 기관으로 화물차량을 나르는 시연을 해보기로 한 날이다.경사진 18㎞의 주철 레일 위로 원통 기둥에 커다란 바퀴가 달린 시커먼 기관차가 등장했 ... ...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겨울이 깊어가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예전에 비하면 따뜻한 겨울이라지만 매서운 한파가 몰아칠 때면 집밖을 나서는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는다. 특히 고혈압 환자처럼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영하의 날씨는 자칫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겨울철 건강관리법에 단골로 도마에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코끼리는 동작이 매우 느리고 쥐는 행동이 잽싸다. 이들이 바라보는 인간 사회, 예컨대 모든 게 분주하게 돌아가는 뉴욕 같은 대도시는 어떻게 다를까?코끼리가 보기에 인간은 아침에 번개같이 일어나서 쏜살같이 출근해 바람같이 일하다가 총알같이 퇴근한다. 이번에는 쥐의 입장이 된다. 동작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태양이 여태까지 기록된 것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의 플레어를 뿜어냈다. 태양 표면에서 가장 드라마틱하고 강력한 활동이 11월 5일(수요일) 현재까지 열흘 동안 지속됐다. 컴퓨터에서 데이터가 밀렸을 때에 일괄해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배치란 다발이라는 뜻으로, 한 묶음으로 해서 처리한다는 것 ... ...
엘니뇨, 화산재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화산폭발로 인한 분진이 엘니뇨의 원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 국립대기연구소 카스파 암만 박사팀은 ‘네이처’ 11월 20일자에 투고한 논문에서 성층권에 도달한 화산재가 태양광을 막아 해수온을 변화시킴으로써 엘니뇨가 촉발된다고 밝혔다.엘니뇨는 남아메리카 서해안의 페루한류 속에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는 동력 비행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3가지 문제를 해결했다. 인간을 태울 수 있도록 설계됐고, 상당한 무게를 띄울 수 있는 추진시스템을 갖췄으며, 하늘을 날 때 자유로운 조정이 가능했다. 면역(免疫)담당세포의 하나 탐식(貪食)세포라고도 불리우며 동물체내의 거의 모 ... ...
광통신 세계적 개척자 백운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광주과학기술연구원의 백운출 석좌교수(69). 백 교수는 광통신 분야의 개척자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석학이다. 백 교수는 미 통신회사 AT&T의 벨연구소에서 22년간 근무했다. 벨연구소는 노벨상 수상자를 11명 배출한 세계적인 연구소다.백 교수는 이곳에서 현재 광통신 분야의 핵심적인 기술인 광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