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d라이브러리
"
수상
"(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통일이론의 아버지 셸든 글래쇼 Sheldon Glashow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발전시켜 마침내 노벨상을 타게 된 것이다. 이로써 브롱크스과학고등학교 출신의 노벨
수상
자는 1972년도의 '레온 쿠퍼'를 포함하여 3명으로 늘어 났다. 일찍 과학자의 꿈을 키워 글래쇼는 1932년 뉴욕 맨해턴에서 태어 났다. 그의 양친은 20세기 초 러시아에서 망명하여 뉴욕에서 자리를 잡은 뒤 ... ...
KCRC 올해의 인물상 체신부 오명장관 선정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KCRC가 제정한 '올해의 인물상' 은 지난 85년에 제정, 첫해의
수상
자는 노중호 전정보처리전문가협회장, 두번째 해는 우리나라 PC수출의 계기를 마련한 박성규 대우통신사장이 차지한 바 있다.1940년 서울에서 출생한 오장관은 경기고와 육사(18기), 서울공대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이것이 점점 갈라져서 오늘의 육해분포를 이루게 되었다는 것이다. 베게너야말로 노벨상
수상
감이라 할 만하다. 이러한 학설이 나오게 된 것은 지질학적 고생물학적 증거를 토대로 한 것이지만 이것을 결정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던 것은 지구물리학적 지식의 발달 결과였다. 지질학은 다른 ... ...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
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아주 가벼온 액시온 이론에 매진해 이를 더욱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한국과학상을
수상
하기 위해 현재 초빙교수로 있는 미국 미시간대학에 급히 귀국한 김교수는 16일 다시 출국했다. 그러나 금년 8월말이면 돌아와 서울대에서 강의를 할 것이라 한다. 한국과학상은 몇 가지 점에서 이제까지의 ... ...
아프리카의 모래해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대지 '사헤르'지대. 마을과 녹지대를 모래가 삼켜버린 불모의 땅을 로버트 카파상
수상
카메라맨이 생생하게 포착하여 그 모래지옥을 펼쳐 보인다. 아프리카대륙을 가로질러 덮고있는 모래경계선은 대체 어디까지 계속되어 있는가. 사진르포작가 '스티브 맥커리'는 그 현장을 상공에서 촬영하려고 ... ...
예술은 과학적 상상력을 풍부히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크기에서 매우 다양하여 작은것은 지름이 수cm정도이고 아주 큰것은 10m나 되기도 했다.
수상
작으로는 3점이 선정됐고 이들 작품은 박물관에 항상 전시된다. 표현에 있어서는 아주 구상적인것과 추상·개념적인 것으로 나뉘어졌으며 그림의 재료로는 기름수채, 아크릴, 유리, 세라믹, 티타늄,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등 기초과학분야로 상금은 5백만원이다.또 장려상
수상
자는 3년간 2천만원의 연구비를 지급받게 된다. ■ 남극과학기지 건설유사이래 최초의 해외과학기지가 되는 대한민국남극과학기지를 건설하기 위한 건설단이 11월6일 울산항을 떠나 88년2월말 남극대륙의 북단에 있는 ... ...
초전도체의 열풍속에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시작했다. 지난 6월 총선에서 연거퍼 3번째로 승리한 마가렛 대처
수상
은 내각을 통해
수상
에게 직접 보고하는 기관인 과학기술자문위원회(ACDST)라는 신설 기관을 설치하고 기초에서 응용에 이르기까지 과학에 대한 모든 형태의 정부지원에 대한 정책자문을 하게 되었다. 영국은 과학정책의 전환을 ... ...
첨단기술에 진입한 느낌 내실있는 전시 주목할만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빔 프린터를 개발한 금성사의 윤용섭 선임 연구관과 대덕 전자의 이진호씨가 각각
수상
했다.필자가 특히 눈여겨 본 오디오 제품에서는 동원 전자가 5억 7천 8백만원을 들여 개발한 신 제품인 AV 8970R이 있었다.이 시스팀은 지난 9월 서독 베를린에서 개최된 오디오와 비디오 쇼에서 각국나라 사람들로 ... ...
초전도 물질의 실용화에 돌파구 열어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노벨물리학상
수상
자들의 업적은 고온(高溫) 초전도물질을 새로 개발해 내어 초전도 물질의 폭넓은 실용화를 위한 돌파구를 열었다는 점이 인정된 것이다.뮐러와 베트노르츠박사는 란타늄(La) 바륨(Ba) 산화구리(CuO) 라는 세라믹 재료를 이용해 절대온도 35도(섭씨 영하 2백38도)에서 초전도현상이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