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실과 90% 똑같은 사이버관광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똑같은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사이버 섹스일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인간의 감각중추와
신경
계에 대한 완변한 이해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그리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행여 민감한 부분에 감전이라도 당하면 큰일이지 않겠는가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빛에 반응하는 렌즈가 들어있다. 각 렌즈 아래에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 시각
신경
에 정보를 보내는데 필요한 8개의 광수용기가 들어있다. 광수용기에는 다시 세가지 형태가 있는데, 광수용기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빛이 다르고 이 때문에 파리도 사람처럼 컬러로 세상을 볼 수 있다.빛이 ... ...
죽음 부른 다이어트 약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세로토닌이 원래의
신경
세포로 다시 흡수되는 과정도 막는다.
신경
세포 말단에는 분비된
신경
전달물질을 다시 흡수하는 재흡수 채널이 있다. 이 재흡수 채널을 방해하면 분비된 세로토닌이 다시 흡수되지 못해 실제로는 더 많은 세로토닌이 분비되는 효과를 나타낸다.펜플루라민은 세로토닌에만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요구된다. 인공코가 사람처럼 각종 냄새를 감지하려면, 인체후각
신경
계에 대응하는 인공
신경
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공감각기관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좀더 시간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컴퓨터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나노전자소자가 도입되는 시기는 앞으로 10년 후로 내다보고 있기 ... ...
작물 생산성 높여주는 이산화탄소 센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민감하게 반응하는
신경
말단을 지닌 상피세포다. 후각상피에서 감지된 후각정보는
신경
을 타고 정보를 해석하는 뇌로 전해져 냄새를 느끼게 된다.연구실에서는 후각상피처럼 민감하게 반응하는 감각기로‘고체전해질’을 이용하고 있다. 현재 개발중인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를 뜯어보자. 나트륨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존의 프로그래밍으로 로봇을 제어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진화 알고리즘을 사용한 인공
신경
망은 실제 미 항공우주국(NASA)의 행성탐험용 로봇이나 하수도 청소 로봇의 제어기를 만드는데 이용되고 있다.또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애완 로봇이나 인간형 로봇 휴머노이드에도 진화 알고리즘이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런 자극에 상승작용을 일으켰다. 응원단 속에 있던 누구나 자율
신경
계 중의 교감
신경
이 활성화돼 맥박이 빨라지고 호흡이 거칠어지면서 솟구치는 짜릿한 흥분과, 더 나아가 뇌에서 엔도르핀이 분비되면서 밀려오는 황홀한 감동을 느꼈던 것이다.붉은악마의 길거리응원은 그 자체가 즐거운 자극을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그 한계점을 네트워크 너머로 밀어낸다. 무한 팽창하는 하드디스크와 이를 다스릴
신경
세포인 컴퓨팅 파워의 창궐은 더욱 많은 분야에 기억의 복음을 파급한다. 어느새 뇌세포처럼 퍼져 얽히고 얽혀 21세기사회 전체에게 방대한 기억이라는 지향적 의식을 심어 버린 이 공산품은 분해되면 메탈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이러한 설정은 어차피 우리가 인식하는 이 세계 역시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여진
신경
신호가 우리의 두뇌 안에 재해석돼 구현된 것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 아닐까.간단한 비유를 해보자. 사방이 막힌 방에 내가 있다. 방안에 있는 한대의 컴퓨터가 바깥 세상을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자 다른 ... ...
범죄심리학으로 풀어본 택시 연쇄살인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일관성 있게 다양한 반사회적 행동을 나타내며 일생동안 계속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신경
심리학적 기능의 결함을 갖고 태어난다. 그 결과 일시적 비행자보다 어릴 때 언어 능력이 뒤떨어지고 자기통제력과 주의집중력이 낮다. 또한 과다한 활동성을 보이며 충동성이 높다. 아이의 기질적 특징은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