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낯
안면
겉
표면
머리
용모
화상
d라이브러리
"
얼굴
"(으)로 총 2,80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염기와 다르게 돼 있다. 이를 '염기배열다형'(多形, polymorphic)이라 부르는데, 사람마다
얼굴
생김이 다른 등의 차이가 여기서 생긴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생명현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염기배열에서의 변화다. 이를 제외하면 사람은 모두 같은 염기배열을 가진 것이 된다.DNA의 염기배열 중 RNA에 ... ...
화학- 기름·물 모두 친한 알칼리대명사 비누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수소가 생성됐고 양극에서는 플루오르가 생성됐다(그림2). 할로겐 화합물의 두
얼굴
할로겐은 반응성이 커서 다양한 화합물을 만든다. 그러나 인간의 필요에 의해 사용되는 할로겐 화합물 가운데에는 인류의 생존을 크게 위협하는 것도 있다. 그 대표적인 물질이 CFCs, 즉 프레온가스라 불리는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1등성들에게 양보하게 된다. 초저녁을 넘어서면서 동쪽의 지평선을 데뷔 무대로 삼아
얼굴
을 내밀기 시작하는 북쪽 마차부와 남쪽 오리온자리의 화려한 자태는 별지기들의 시선을 묶어 놓기에 충분하다.이달에는 수성의 태양면 통과부터 서방최대이각에 이르기까지, 수성이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사람의 혈색을 보거나 맥박을 짚어 보아 그 사람의 건강상태를 짐작하고, 또
얼굴
의 모습이나 주름을 보고 나이를 짐작한다. 별의 경우에는 별에서 나오는 빛의 양(광도)이나 색깔(색지수 또는 표면온도)을 관측함으로써 그 별이 어떠한 진화상태에 있는가를 알 수 있다.이 때 빛의 양은 별의 내부가 ... ...
'93 노벨상 수상 영광의
얼굴
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올해 발표된 과학자 최고의 영예 노벨상 수상자들의 연구 업적을 살펴본다.물리학상/테일러와 헐스쌍성펄사에서 발생하는 중력파 추적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미국의 천문학자인 헐스(R.A. Hulse)와 테일러(J.H. Taylor)가 차지했다. 두 사람의 대표적인 논문 '쌍성계내의 펄사 발견'(Discovery of a Pulsar in a ... ...
우주항공에서 환경보호까지 세계 첨단기술 총집합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물레를 돌리는 3명의 도공(陶工)이 나타난다. 가운데 있는 할아버지는 몸동작이나
얼굴
표정의 미묘한 변화를 정교하게 표현하는 유체제어로봇이다. 도공 로봇들은 관객을 향해 외국에서 일본에 전래된 기술과 문화가 일본의 것으로 수용되고, 이것이 오늘날의 첨단기술에 토대가 됐음을 설명한다 ... ...
대전 EXPO에 등장한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구 모습이 돋보인다 물론 초점은 지구의 어느 지역에서나 다 잘 잡힌다. 싱크 박사의
얼굴
은 사람 형상을 한 조각에 영사하고 흐르는 구름 영상은 펄럭이는 천에 영사하면 효과는 100%.대전엑스포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움직이는 극장. 관람객이 앉은 자리가 영상화면에 맞춰 전후 ... ...
공해로 사라진 밤하늘, 꿈과 낭만의별하늘로 되살리자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참가자들은 공동체 훈련 프로그램에서 남녀노소가 적당히 섞인 조별활동을 통해 서로
얼굴
을 익혔다. 참가자들이 내세운 구호와 조가(組歌)에서 별과 관련된 것이 압도적으로 많아 평소의 관심도를 반영했다. '별 볼 일 있게 살자' '별나게 별스럽게 별다르게' '투디와 함께 별을 닦자' 등의 구호와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정력에 좋다며 가끔 공기총을 쏴 잡아간다는 말을 들려줄 때는 맥이 빠지는
얼굴
들이었다.거기서 바로 얼마 되지 않는 곳에는 물개바위가 있었다. 마침 밀물 때라서 물개바위가 간신히 물 위에 보일락 말락 했다. 또 아직은 오전중 이어서인지 어제 본 것처럼 물범이 바위에 누워 있는 모습을 볼 수 ... ...
아이 엎어 재우면 돌연사 위험 크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바닥에 향하고 자더라도 충분히 혼자 힘으로
얼굴
을 돌려 공기를 호흡할 수 있기 때문에
얼굴
에 뭔가를 덮거나 고개를 돌리지 못 할 상황이 아니라면 질식이 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 없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유아들0| 잠든 동안 기도(氣道)를 확보하는 능력에 관한 자료는 매우 빈약하다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