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그러나 기초연구를 담당해야 할 대부분의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연구시설과 연구자금의
한계
성 때문에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수많은 연구자들의 탐구의욕과 창의력이 발휘될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현재 국내의 여러 대학 및 연구소에서는 단백질의 입체구조, 유전자의 발현과 조절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가장 밝은 구상성단은 M10(NGC 6254)과 M12(NGC 6218)다. 이들의 밝기는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한계
바로 바깥이다. 서로 가까이 이웃해 있는 이들을 찾을 때는 엡실론(ε)성과 델타(δ)성을 기준으로 해서 동쪽으로 10º떨어진 붉은색의 5등성인 30번 별을 찾는다. 이별의 서쪽 약 1º에서 M10의 뿌연 빛을 볼 수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등 대부분의 그람음성균에 대해서는 뾰족한 위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게 그 첫번째
한계
다. 또 하나는 이 항생제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세팔로스포리나제(cephalosporinase)라는 효소를 생성하는 내성균이 등장하게 됐다는 점이다. 페니실리나제 앞에서 페니실린이 꼼짝 못하듯, 세팔로스포린을 ... ...
톱 쿼크 좇는 슈퍼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기본 가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의 과제는 이제 계산속도의
한계
를 극복하는 것이다." 페르미연구소의 책임자인 존 피플즈 박사의 말이다.각 부분 별도 프로세서 에서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기계를 만들기 위해 물리학자들은 그리 비싸지 않은 기성품들을 서로 연결해서 강력한 ... ...
과학기술의 힘으로 물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실용화되기 시작했으나 물성(物性)이 뒤떨어지며 합성고분자는 분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한계
가 있다.미생물에 의해 얻어지는 유당(lactose)을 원료로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중합시키면 폴리락타이스라는 고분자가 얻어진다. 이 고분자물질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므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 ...
만약 오줌이 저절로 나온다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소변을 배출하지 못해 일반적인 허용정도 이상으로 늘어나게 되고 이것이 어느
한계
에 도달하게 되면 넘쳐서 흘러나오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소변은 주기적으로 넘쳐 나올 수도 있고 아니면 계속해서 방울방울 흘러나오기도 한다. 이 질환은 남자 노인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전립선비대증 등 ... ...
2001년 5월1일의 일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애당초 실효를 기대하기란 어려운 노릇이었다. 집에서 버려지는 오염물질을 줄이는 것도
한계
가 있는 데다가 무공해 대체세제를 개발하는 등 근본적인 해결노력없이 국민의 도덕심에만 호소하는 건 너무 안이하고 피상적인 대책이었다.연주는 갑자기 물줄기 소리가 힘차지는 것 같자 얼른 수돗가로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된다. 스포츠과학 전문가들은 인간의 팔로 휘두르는 방망이의 속도는 시속 1백70㎞가
한계
라고 보고 있다. 이 이상의 스윙속도는 슈퍼맨에게나 기대해 볼 수 있다는 것. 일본 미즈노사 스포츠기술 개발연구소는 스윙분석기를 활용, 시속 1백70㎞의 속도로 휘두르는 가상의 타자를 상정해 모의실험을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에너지 등 주요자원난에 공해와 핵공포까지 겹쳐 비틀거리고 있다.육지에서 여러가지
한계
를 느낀 인간은 해양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지구의 3분의 2인 바다에서 인류의 보다 풍부한 미래를 약속할 수 있는 그 무엇이 없을까 하고 시선을 돌린 것이다. 어제까지만 해도 주로 항해의 공간으로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늘어남에 따라 적혈구 보존기간을 연장시키는 냉동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다. 통상 21일이
한계
였던 적혈구의 보존기간이 대폭 늘어난 것.1950년대 초 적혈구를 -79℃의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면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단 이때 적혈구에 글리세롤(glycerol)이라는 반(反)동결물질을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