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996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염경로 불명 코로나19 환자수 더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잘 준수한 사례로 이달 12~14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반려
동물
박람회를 소개했다. 킨텍스 제공 최근 2주 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일일 평균 신규 확진 환자수는 직전 2주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 환자수는 늘어난 ... ...
[표지로 읽는 과학]북극 인류 생존의 일등공신 '썰매개'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0.06.28
연구팀은 논문에서 “9500년 전 조코프 지역 유적에서 발견된 북극곰이나 사슴의
동물
뼈 성분, 그리고 사용한 석기의 재료(흑요석)을 보면 이들이 거의 1500km를 이동하며 사냥을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며 “썰매를 만드는 기술과 썰매개를 길들인 덕분에 빙하기인 이 시기에 이 지역에서 인류가 ... ...
[애니멀리포트]호랑이를 길들이지 못하는 세 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20.06.27
괜히 ‘초막장’이란 수식어가 붙은 게 아니었다. 미국 오클라호마주에서 호랑이, 사자, 표범 등 대형 고양잇과
동물
200마리를 기른 사설
동물
원 운영자와
동물
보호단체 대 ... 강조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6월호 '초막장' 다큐 '타이거 킹: 무법지대' 제 반려
동물
은 호랑이입니다만 ... ...
이탈리아 연구팀 "모기는 코로나 안옮겨"
연합뉴스
l
2020.06.26
결과가 나왔다. AFP통신에 따르면 이탈리아 국립 고등보건연구소(ISS)는 25일(현지시간)
동물
위생연구소(IZSVe)와 함께 벌인 연구에서 흰줄숲모기나 일반 모기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를 전파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모기들에게 코로나19에 감염된 피를 빨아 ... ...
코로나19 확진자 다녀간 펫박람회, 방역수칙 잘 지켰더니 추가 환자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방역당국에 따르면 경기 고양 킨텍스 전시장에서는 이달 12일부터 14일 사이 반려
동물
박람회가 열렸다. 이곳에 이달 13일 확진 환자가 방문한 것이 확인됐으나 이달 25일까지 관련한 추가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역학조사관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시장은 출입 전에 발열감시와 점검을 2회에 ... ...
'콩을 드시오' 피부 주름 없애고 애주가 간에 좋은 검정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20배 함유된 게 특징이다. KIST 연구진은 기능성 콩 ‘SCEL-1’ 추출물을 이용한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피부 주름, 알코올성 지방간,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복합 개선 효과를 검증했다. 우선 자외선으로 피부 노화를 유도한 쥐 실험 결과 SCEL-1 추출물을 투여한 쥐는 다른 집단군보다 주름 개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미생물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23
구강 건강까지 안 좋아지면 구강미생물이 장으로 넘어와 장의 문제가 악화될 수 있음을
동물
실험(생쥐)을 통해 보여줬다. 연구팀은 무균 생쥐를 대상으로 구강의 건강상태에 따라 구강미생물이 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봤다. 먼저 구강에 문제가 없을 경우 무주공산인 대장에 진출한 ... ...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홍보해놓고 실험시설 부족 방치하고 추경도 잘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데 성공했다. 세계적으로도 네덜란드와 미국, 중국 등 일부 국가만이 개발에 성공한
동물
실험 모델이다. 특정 질병에 대한 영장류 실험 모델 개발에는 보통 6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리지만, 감염병연구센터는 코로나19의 시급성을 감안해 시간을 단축해 2개월여 만에 개발을 끝냈다. 감염병연구센터는 ... ...
코로나19로 주목 받는 항체 '칵테일'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항체치료제를 연구 중이다. 4월 중화항체를 선별해 이달 초 족제비(페럿)를 이용한
동물
실험까지 마쳤다. 특정 농도에서 폐나 코 등의 검출물 속 바이러스 농도를 100분의 1까지 줄이는 효과를 확인했으며 현재 영장류 실험을 진행 중이다. 7월 중 임상시험용 항체치료제를 생산한다는 목표다. ... ...
코로나19 백신 국내 첫 임상 최준용 교수 “내년 상반기 3상 완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중화항체 지속 기간도 백신 개발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GX-19가 아무리
동물
실험에서 유효성이 입증됐다고 해도 사람 몸에서 중화항체가 얼마나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돌연변이 발생 여부를 장담하기도 어렵다. 돌연변이가 생기면 임상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