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839건 검색되었습니다.
백혈병 재발방지 방법, 韓日 공동 연구진이 찾았다
2015.08.25
사실을 알아내 백혈병을 일으킨 실험용 쥐에 글리벡과 동시에 주사하자 백혈병 재발을
억제
해 생존율이 최대 60%이상 높아졌다. 흔히 쓰는 항생제를 추가 처방하는 것만으로도 백혈병 재발을 막을 수 있게 된 셈이다. 차병원그룹은 조만간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과정에 관여하는 효모의 유전자 발현을 늘이고 FPP를 다른 물질로 바꾸는 유전자를
억제
해 효모가 FPP를 최대한 많이 만들어내게 했다. 여기까지는 대사공학이지만 합성생물학이라고 부르기에는 약하다. 두 번째 단계는 FPP를 아모르파디엔(amorphadiene)이라는 분자로 바꾸는 효소인 ADS라는 개똥쑥의 ... ...
맛있는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 방법
2015.08.23
연구원은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각종 영양성분을 합성하지만, GLK2 단백질이
억제
되면 광합성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며 “당과 영양성분의 함량이 적어지면 토마토의 풍미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인 방법은? 빨갛게 익은 겉모습에만 현혹돼지 말아야 겠다. ... ...
세포 자정작용 이용…신개념 항암 치료법 나왔다
2015.08.19
자정능력으로 알려진 세포 청소는 마이크로RNA, siRNA 등 ‘청소부’가 유전자 발현을
억제
시켜 불필요한 단백질을 없애는 과정이다. 만약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정상세포가 암세포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포청소에 관여하는 RNA 간섭(RNAi) 현상을 이용한 유전자 조절기술이 암과 ... ...
차세대 항암제용 항체, 어떻게 암 없애는지 확인
2015.08.18
저해한다. 반면 GITR 자극 항체는 암의 성장을 촉진하는 ‘면역조절 T세포’의 기능은
억제
했다. GITR 자극 항체의 항암 효과는 인터루킨-9를 매개로 T세포의 기능을 조절해 생긴다는 사실을 최초로 알아낸 것이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로 인터루킨-9의 역할을 재조명했다”며 “향후 이를 이용한 ... ...
종양 발생 막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아냈다
2015.08.12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12일 밝혔다. p53은 예전부터 종양
억제
에 관련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었지만 이 단백질이 어떤 과정을 통해 종양을 막는지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프로테오믹스’란 생물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해 단백질의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 ...
지구에 지렁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2015.08.05
수 있다. 하지만 지렁이의 장 속에 있는 효소인 드릴로디펜신은 폴리페놀의 활동을
억제
해 섭취한 식물 조직을 완전히 분해한다. 지렁이 장 속 효소의 반응을 관찰하는 데는 질량분석법이 이용됐다. 번디 교수는 “이 효소가 없다면 우리 지구가 지금과 전혀 다른 모습일 것”이라며 “식물이 ... ...
당뇨병 치료제로 타이레놀 부작용 막는다
2015.07.30
사실을 확인했다. 이 연구원은 “GADD45β 유전자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인한 독성을
억제
하는 조절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규명한 점에서 새로운 간 독성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 7월호에 게재됐다. ... ...
후성유전학이 답한다
과학동아
l
2015.07.29
다른 요소들이 DNA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고 생각했다. 같은 해에 효모에서 전사를
억제
하는 Rpd3p 단백질이 포유류의 탈아세틸효소와 비슷하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DNA를 감는 실패 역할을 하는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DNA를 풀었다 감으면서 전사를 조절하는 것이 확실해졌다. 1996년 이후의 ... ...
유전자 물질 이용한 암·치매 치료 원리 찾았다
2015.07.29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핵단백질의 발현이 너무 적거나 과하면 스플라이싱이
억제
된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심 교수는 “스플라이싱의 자세한 기전을 밝힌 것으로 학문적 의미가 크다”며 “핵단백질의 양을 조절해 선택적 스플라이싱을 조절하면 암과 같은 유전적 질병 치료에 활용할 수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