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벨트 주요 궁금증 5문 5답
과학동아
l
201106
않는 희귀한 동위원소를 만들 수 있다. 새로운 동위원소를 발견하면 노벨상을 받을
가능
성도 높다. 기존 노벨 물리학상 101개 가운데 20%가 가속기를 활용한 연구다.Q. 새로운 동위원소를 발견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나A. 새로운 동위원소를 발견할 때마다 인류의 과학은 크게 진보했다. 미국 화학자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06
암호화되지 않은 채 저장된 위치정보는 해킹되거나 스마트폰이 분실되면 쉽게 유출될
가능
성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과거 행적이 그대로 알려질 뿐 아니라, 스마트폰과 위치정보 서버 간 통신을 모니터링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어 심각한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할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06
거의 일어나지 않는 미래에는 안전띠가 필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유주행이
가능
해져 자동차가 모든 상황을 예측해서 움직인다면 사고가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안전띠의 필요성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 ...
범죄 막는 도시 디자인, 셉테드
과학동아
l
201106
‘토루’에서도 이런 설계를 볼 수 있다. 토루 주변에 해자를 파고, 창과 출입문을
가능
한 작게 만들어 외부인의 접근을 막았다. 셉테드에서도 해자를 현대적으로 다시 해석해 보행로와 저층부 사이에 물로 찬 공간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범죄자의 접근을 막을 뿐만 아니라 낮은 층에 사는 사람들의 ... ...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06
우리나라를 관찰할 수 있다. 또 비가 많이 오거나 구름이 잔득 낀 날에도 영상촬영이
가능
하다. 햇빛에 반사된 영상을 담는 광학위성과 달리 전파를 발사한 뒤 물체에 반사된 전파를 받아 영상을 만들기 때문이다. 어두운 동굴에서 박쥐가 초음파를 쏴 앞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내는 것과 비슷하다. ... ...
“자기주도학습 전형 50%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06
전형, 특례입학대상자 전형의 지원 자격을 모두 갖추고 있으면 세 전형의 복수 지원이
가능
하다. 자기주도학습 전형에 불합격하더라도 과학창의성 전형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면 합격할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 전형과 과학창의성 전형은 인터넷으로 접수하므로 응시 전형의 해당란에 체크하면 된다. ... ...
Armadillos and Human Leprosy
과학동아
l
201106
확신을 더해줬다.연구결과에 의하면 직접 아르마딜로와 접촉했다 하더라도 나병이 옮을
가능
성은 낮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은 환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안티박테리아 물질로 치료받을 수 있다고 해도, 박테리아에 전염될 수 있으므로 아르마딜로를 사냥하고 요리해서 먹는 행위 자체를 중단할 것을 ... ...
사람의 마음, '수학공식' 으로 나타낸다?!
수학동아
l
201106
써 왔다. 하지만 수학공식으로 사람의 기억이나 정신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불
가능
하다고 여겼다. 이 때문에 신교수의 연구가 더 의미를 갖는다.신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비록 단순한 경우로 한정한 연구였지만 사람의 마음을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연구” 라며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06
바로 행글라이더에 몸을 맡겼어요.행글라이더는 사람들이 타는 비행기 중 활공 비행이
가능
한 비행기예요. 블루가 활공비행을 체험하기에 안성맞춤이죠. 행글라이더는 엔진이 없어서 땅에서부터 출발할 수 없어요. 높은 곳에서 출발해 활공 비행을 해야 하죠. 행글라이더라고 해서 무조건 ... ...
진실 혹은 거짓? 그림 속 도형
가능
할까?
수학동아
l
201106
‘펜로즈의 삼각형’ 이라 부르게 됐다. 그러나 어떤 이들은 그 특성에 맞춰 ‘불
가능
삼각막대’ 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도형은 펜로즈가 처음 생각한 것은 아니다. 이 삼각형은 1943년 스웨덴의 화가 오스카르레우테르스베르드의 작품에 처음 등장했다. 1982년에는 스웨덴 정부가 그의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