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공부의 적극적인 확장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근사값의 곱셈이나 나눗셈에서의 유효숫자의 문제에 관심을 가져본 일은 있는가?
결국
제대로된 영재성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출발점은 공부하는 자세에 달려 있다. 수학 영재성 포트폴리오 가운데 유독 대수에 관한 주제가 빈약한 이유는 분야의 특수성 때문이 아니라 ‘사고의 빈곤’ 때문이다.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스푸트니크 이전부터 수많은 실패와 도전을 계속했다는 사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결국
지금 러시아의 우주 기술은 길고 긴 시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과 노력으로 이루어진 게 분명하다. 그 모든 과정이 깔루가에 있는 찌알꼽스끼 우주역사 박물관에 그대로 전시돼 있었다.내가 찾았던 ... ...
한국 문화 꽃피운 과학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삼국유사 | 이종호 지음 | 동아시아 | 약 360쪽 | 각권 1만 6000원] 앵무새가 거울을 쪼다가
결국
제 그림자임을 깨달았다는 이야기인데, 정말 앵무새에게 그런 인지 능력이 있을까. 학자들의 견해는 둘로 나뉜다. 하나는 동물이 자신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니라는 것이다. 흔히 조금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물질로 사용하는 것이다. 천적에게 신경 독으로 작용해 심하게 구역질을 하게 하거나
결국
에는 죽게 만들어 단 한 번의 경험으로도 더 이상의 공격을 시도하지 못하게 한다.사실 독성이 있는 방어물질은 애벌레 자신에게도 위험하다. 애벌레 혈액 속의 독성 농도는 박주가리 잎의 몇 배가 되기도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번호를 주고 냉동 보관한다. 그 뒤 원하는 연구자에게 줄기세포를 보내 준다. 이리하여
결국
난 아무것도 훔치지 못했어. 그런데 세상에 이렇게 멋진 과학 은행이 많다는 걸 예전엔 미처 몰랐지 뭐야. 돈을 맡기는 은행뿐 아니라 사람의 생명을 구하고, 치료하고, 연구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것들을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지난겨울 영국은 폭설 때문에 학교가 며칠씩이나 휴교했어. 영국 학생들은 여기저기 뿔뿔이 흩어져 살아서 30분씩 스쿨버스를 타고 온단다. 그래서 눈이 많이 ... 행복한 수인 셈이지.그런데 이런 수를 왜 행복한 수라고 부르냐고? 현재의 모습이 어떠하든 마지막은
결국
하나(1)가 되는 수 ... ...
Part 1. 날개 접었다 폈다, 출퇴근용 변신 비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날씨나 다른 항공기의 접근여부 등을 수시로 판단해 위급상황에도 대비해 준다.
결국
하늘을 나는 동안 PAV는 안전한 무인 비행기와 똑같아지는 셈이다. 이런 항공 인프라를 만들기 위해선 여러 대의 인공위성을 동원해 모든 PAV의 비행상태를 파악해야 하고, 또 별도로 설치한 전파발신기 등을 이용해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아인슈타인의 뇌를 해부했다. 그들은 아인슈타인의 뇌를 붙잡고 40년 동안 연구했지만
결국
아무 것도 얻지 못했다. 아인슈타인의 뉴런 개수는 일반인과 차이가 없었고, 뉴런의 크기도 같았다.그러나 1995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마리안 다이아몬드 교수는 아인슈타인의 뇌에 신경교세포가 ...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지구과학자라고 주장한다. 미안한 말이지만 교육학계에서 이런 현상이 심했다.
결국
케플러의 법칙이 물리2와 지구과학2에 함께 들어갔는데 물리학에서는 케플러의 법칙이란 이름을 못쓰고 다른 이름으로 나갔다. 융합형 과학 교과서를 만들 때도 자기 과목 지키기가 대단했다. ”어떻게 해결했나 ... ...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읽을 수 있었다.경기 시간이 다가올수록 기자가 준비한 로봇이 잘할 수 있을까 염려됐다.
결국
번외 경기로 치러진 경기에서 기자의 팀은 그리 좋은 성적을 거두진 못했다. 그러나 대회를 준비하며 즐기고 배웠으니 그것만으로도 큰 가치가 있었다. 창의공학교육협회장 도경민 인덕대 교수는 대회가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