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4회 청소년 표준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대회에 참가한 청소년들은 팀별로 표준 신호등과 표준 측정 장치를 만들었다. 심사기준은 크게 세 부분이다. 우선 표준화를 얼마나 이해하는가, 청소년들이 제출한 과제가 얼마나 실현 가능한가, 그리고 청소년들이 직접 작품화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논리적으로 표현했는가다.본선 대회에 참가했던 ...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일어난다고 한다. 이러한 주기는 40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고등어는 어떤 기준에 따라 동서의 진로를 선택하는 것일까. 고등어가 회유하는 목적은 적당한 수온과 먹이를 찾기 위한 것이다. 동해와 서해 어군의 양적 변화도 이와 관련돼 있으리라 추측된다. 알레르기 vs. 생리활성고등어는 ...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벌인 뒤 선정하며선정일 기준으로 2달 전까지 출간된 신간 중에서 1권을 고릅니다. 선정 기준은 다음 3가지입니다.첫째, 현재 과학적인 진보를 잘 반영하면서 정확한 정보가 실린 책둘째, 담긴 내용이 미래 인간의 삶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책셋째,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 ...
- War between GOOGLE vs. MS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완전히 새롭게 개선시키는 작업이었다. 이런 지속적인 개선이 효과를 보고 있다. (미국 기준으로) 웹에서 검색의 3분의 2는 구글을 통해 이뤄진다. 야후!는 20% 미만, MS는 10%정도의 시장점유율을 가진다. MS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재 구글이 충분히 잘 작동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
- 꽃의 여왕, 장미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심고 6~7년에 걸쳐 재배하면서 꽃송이의 개수, 줄기 형태 등을 꼼꼼히 관찰하지요. 이런 기준을 통과해 품종으로 뽑히면, 가지를 잘라 심고 키우는 거예요. 장미 색의 비밀장미는 꽃송이가 작을 때 색이 더 진해 보여요. 장미가 크면 꽃잎이 넓어져, 단위 면적 당색소의 밀도가 작아지거든요. 또 다른 ... ...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지상 2층과 지하 2층, 이익 500원과 손실 500원 등은 서로 같은 양이지만 그 의미는 반대다. 기준을 0으로 정하고 이보다 큰 값에 양의 부호 ‘+’, 작은 값에 음의 부호 ‘-’를 붙여 수로 간단하게 나타내면 ‘영상 3℃’는 단순히 ‘3℃’, ‘영하 2℃’는 ‘-2℃’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 ...
- 힘찬 기상과 애절함을 담은 소리 피리과학동아 l2009년 10호
- 그래서 연주자들 대부분은 향피리 연주법을 익힌 뒤 당피리 연주법을 배운다.당피리는 기준음인 황종이 진동수 262Hz의 도(C)와 같은 반면, 향피리는 C보다 한 옥타브 아래의 미 플랫(E♭)과 같다. 향피리와 음색을 비교하면 당피리가 좀 더 밝은 느낌을 준다. 두 악기는 지공의 위치도 조금 다르다. ...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자동차? 비행기? 어떤 게 더 위험할까? 자동차와 비행기를 타고 가다 사고로 죽을 확률은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탑승한 횟수 당 사망률인지, 탑승한 시간 당 사망률인지, 탑승한 거리 당 사망률인지에 따라 확률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비행기가 자동차에 비해 훨씬 빠르므로, 만약 서로 자기네가 ...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때문에 고체와 액체 모두 94%까지 막아낸다. 우리나라의‘기준’이 미국이나 유럽의 기준보다 더 엄격한 셈이다.재채기는 일반 마스크로도 충분히 막아 마스크 기능 시험에 사용하는 미세입자의 크기는0.3~0.6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크기가 80~120nm(나노미터, 1nm=10-9m ... ...
- 삼척동자와 도량형과학동아 l2009년 10호
- 군사 동맹을 맺었고 손권은 조자에게 후한 상을 베풀었다. 피리 ‘황종관’이 도량형 기준삼척동자나 거재두량에서 사용된 척과 두는 모두 도량형(度量衡)의 한 단위다. 도량형에서 도(度)는 길이, 양(量)은 부피, 형(衡)은 무게를 뜻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길이, 넓이, 부피, 무게를 나타내는 도량형의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