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태계의 사고(史庫),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과거와 현재에 존재한 인간과 인간이외의 모든 생물은 물론 이웃 행성의 진화에 이르기까지 자연사박물관의 관심영역은 방대하다.얼마전에 ... 해 주어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 고유의 자연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정립을 통해 주체적
문화
의식과 자긍심을 고양하는데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 ...
PART3 쓰쿠바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현재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고 혁신적인 제도와 접근이 일본의 전통
문화
에 아직 그 파급효과를 내지 못했다 하더라도 쓰쿠바 국제과학기술 박람회에 참석했던 무려 2천만인구의 가슴속에는 쓰쿠바 과학도시의 신선한 인상이 남아 있을 것이다. 이는 장차 쓰쿠바 신도시가 ... ...
가정자동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비롯해 여러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방에서 창작활동 즐길 수도셋째로
문화
부분에서 HA가 완성되면 위성방송을 통해 영화나 예술, 각종 스포츠를 관람할 수 있게 된다. 이 분야의 핵심 장치는 홈 영화관(home theater)과 AV센터.홈 영화관이란 문자 그대로 고품위TV(HDTV), 리어 프로젝션(rear projection), ... ...
전국 대학 컴퓨터서클 연합회 전시회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참신한 아이디어에 완성도까지 높인 대학생들의 창작품은 컴퓨터 산업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전국대학컴퓨터서클연합회인 ... 벌여온 UNICOSA는 현재 26개대학에 1만여명의 화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난 6월에는 정보
문화
확산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돼 체신부장관상을 받기도 했다 ... ...
텔레텍스트시대 개막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끼어드는 것이다.KBS 문자방송이 제공하는 정보는 국내외뉴스 경제산업 스포츠 관광레저
문화
예술 생활·과학·여성 방송 증권 특집 등 9개 분야의 40여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보통 3백여 페이지(페이지는 TV의 한 화면을 뜻함)로 이뤄져 있다.문자방송은 보통 TV와는 달리 화면을 정지시켜 볼 수 ... ...
5세대 컴퓨터의 성공과 실패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모방 왕국」을 벗어나려고일본은 90년대에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컴퓨터는 산업 경제
문화
예술 교육 등에 널리 쓰일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정보처리시스템은 국가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일본의 자원부족과 노령화 등의 사회문제를 일거에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5일간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의 대암산과 대우산 일대에서 진행됐다.'과학동아'와 '동아
문화
센터'에서 공동으로 주최하고 쌍용그룹이 후원한 이번 행사는 문교부의 추천을 거쳐 전국에서 선발된 13명의 생물교사와 지도교수(이우철, 강원대 생물학과) 및 진행관계자등 총 19명이 참가, 식물탐사를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이러한 청동활자를 활용한 인쇄로 대표된다. 이것은 한자를 쓰는 동아시아의 이른바 중국
문화
권중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기술적 특징이다. 이는 조선시대의 한국인이 찾아낸 신기술이고 고유기술이다.특히 인구가 적은 나라라는 점을 고려한 인쇄술이었다. 책의 발행부수가 많아야 2백부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있다. 따라서 법률가는 직업의 스트레스를 잠을 더 자는 것으로 보상받고 있다는 것이다.
문화
적인 습관도 수면시간을 좌우한다. 예를 들면 멕시코의 성인은 미국 영국의 성인보다 더 많은 시간을 잠에 할애한다. 세나라 사람들이 밤에 자는 시간에는 차이가 없으나 멕시코인들은 낮에 시에스타(siesta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인간의 시야를 한층 넓혀준 망원경이 발명된지 약3백년이 지났다. 망원경의 발달과정과 그 원리를 살펴본다.인간은 아주 훌륭한 시각(視覺)을 가지고 있어서 먼 하늘의 별이나 아름다운 자연을 볼 수 있다. 우리가 얻은 지식의 80% 정도는 시각을 통해서 얻어진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우리가 눈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