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반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쏜 뒤, 반사된 레이저가 지구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재고 있어요. 지구와 달
사이
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지요. 그 결과 달이 지구로부터 조금씩 멀어지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저기가 출구 같아!”비밀과학수사대 친구들이 거울미로 안에서 한데 모여 빛의 ... ...
[쇼킹
사이
언스] 거대한 보석들이 반짝반짝 나이카 결정 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통해 동굴의 환경과 결정의 특징 등에 대한 1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지요. 또 결정
사이
에 남아 있는 미생물 흔적을 통해 과거의 동굴 속 환경을 더 자세하게 알아내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답니다. 멕시코 정부는 결정 동굴을 잘 보전하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도 준비하고 있어요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선은 손바닥에 존재하는 땀구멍이 솟아오른 것으로, 솟아 오른 선을 ‘융선’, 두 융선
사이
패인 곳을 ‘골’이라고 불러요. 지문 인식은 이러한 융선의 모양에서 특이점을 찾아내는 방식이에요.일단 지문 인식기에 손가락을 갖다 대면 센서가 사진을 찍듯 지문을 감지해요. 그리고는 지문의 ... ...
INTRO. 거꾸로 보면 작아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거리에 모형을 놓고 크기와 모형까지의 거리를 가늠해 보라고 한 거예요.그 결과 다리
사이
로 본 그룹은 모형이 더 작고, 가깝게 보인다고 답했어요. 히가시야마 교수는 그 이유가 몸을 뒤집어 물체를 거꾸로 봤기 때문이 아니라, 몸의 자세가 바뀌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추가 실험을 통해 밝혔지요.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언덕 부(阝)’ 뒤에 ‘언덕 륙(坴)’이 붙어있어요. ‘언덕 륙(坴)’은 ‘흙 토(土)’
사이
에 ‘어진 사람 인(儿)’이 들어가 ‘사람이 사는 언덕’이 됐어요. 즉, ‘언덕들이 있는 넓은 땅’을 ... ...
[과학뉴스] 펼치지 않아도 책을 읽을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쏴서 그 파동이 돌아오는 시간을 분석했어요. 그렇게 종이의 두께와 책장
사이
의 간격을 알아내 9장에 적힌 글자들을 각각 구분할 수 있답니다. 헤쉬마트 박사는 “손상된 고문서를 복원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밝혔어요 ... ...
[숲이야기] 알록달록, 겨울을 기다리는 단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되어 기온이 떨어지면 나무는 잎으로 수분이 빠져나가는 걸 막기 위해서 잎과 가지
사이
에 막을 치고 엽록소 생산을 멈추지요. 대신 잎에 있는 당으로 안토시아닌을 만들어요. 이 안토시아닌 색소가 나뭇잎을 붉은색으로 변하게 만든답니다. 사람의 손처럼 끝이 갈라진 잎으로 유명한 단풍나무가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좋겠다는 마음에서 뇌 지도를 그리는 아이와이어를 시작했답니다.아이와이어는 온라인
사이
트(eyewire.org)를 통해 전세계의 누구나 참가할 수 있어요. 참가자들은 마치 퍼즐 게임을 즐기듯 뇌 신경세포 지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답니다. 145개국에서 참가한 20만 명 이상의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총 ... ...
Part 1. 갯벌 생물은 ‘굴’ 파고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갯벌을 들여다보면 군데군데 동글동글한 모양으로 흙이 쌓여 있기도 하고, 뽕뽕 뚫려 있는 구멍도 있어요. 이 구멍들이 바로 갯벌 생물들이 지은 집의 입구랍니다. 갯 ... 갯벌 건축왕을 뽑아라!Part 1. 갯벌 생물은 ‘굴’ 파고 산다!Part 2. 복잡하고 큰 집이 좋아!Part 3.
사이
좋게 함께 산다 ... ...
[요리교실] 대하로 즐기는 스페인 요리 '대하 까수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따라서 재료의 수분을 없애 줘야 한다.특히 새우는 꼬리
사이
에 투명하고 뾰족한 삼각형 모양의 ‘물총’을 갖고 있다. 만약 물총을 잘라내지 않고 그대로 튀길 경우 기름이 튀어 다칠 수 있다. 따라서 새우를 손질하는 과정에서 물총을 꼭 제거해야 한다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