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을 띠는 광물이 포함돼 있다. 이 자성을 띤 광물
입자
가 다른 퇴적물과 함께 쌓일 때, 그
입자
는 퇴적당시의 자장의 방향에 따라 배열될 것이다. 그러므로 암석 중에 기록돼 있는 자기적 성질을 알게 되면 암석생성 당시의 극위치와 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1950년대에 고지자기 학자들의 ... ...
세라믹
입자
를 백신제조에 활용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알아보기 위해 동물실험을 실시하고 있다.이렇게 안전하고 활성이 없는 세라믹
입자
들은 앞으로 약물수송에도 이용될 수 있다. 약물의 분자모양을 지정된 특정 세포의 수용체에 잘 맞도록 재단할 수만 있다면 이 일은 그리 힘들이지 않고 성취될 것으로 보인다 ... ...
태양표면 폭발로 지구 자기폭풍발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 태양표면의 폭발로 태양에서 지구로 오는 전자, 양성자 등의
입자
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그 압력에 의해 지구자기장이 압축돼 강도가 증가하고 오로라가 발생한다.자기폭풍 동안에 중위도 지방에서는 나침반 방향이 1°정도 움직이며 고위도 지방에서는 그보다 더 심하게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물질은 주로 결빙된 메탄 조각들로 천왕성 고리의 물질과는 달리 먼지와 같이 작은
입자
들이다.해왕성에서도 천왕성의 자기장과 비슷한 세기를 가진 자기장이 발견됐는데 그 자기축도 천왕성에서와 비슷하게 자전축에 46.8°기울어져 있다. 해왕성의 자기장은 표면 바로 밑에 있는 액체의 구각(球殼 ... ...
우주공간의 무충돌 충격파 연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자외선을 받기 때문에, 원자가 원자핵과 전자로 해리(解離)된 플라즈마라 불리는 하전
입자
가 충만해 있다. 이 플라즈마가 전기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충돌과는 다른 원리로 충격파를 만들어 낸다.무충돌형 충격파가 처음 알려진 것은 1964년 미국 고다드비행센터에서 관측된 데이터로부터다. 태양풍과 ... ...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아이스크림이라고 봐야 한다. 이런 아이스크림은 맛이나 풍미가 좋다. 그렇지 않고
입자
가 굵고 거칠며 고르지 않으면 풍미가 떨어진다.상태란 끈끈한 기운과 굳기를 말하는 데 입안에서 녹을 때 끈끈한 기운이 있고 적당히 굳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너무 끈끈하거나 딱딱하면 실격이다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까지 낙하하는 데도 36주 정도 소요되나, 성층권 에어로졸의 보편적 크기인 직경 0.5㎛의
입자
는 같은 거리를 낙하하는 데 11.3년이나 걸린다.성층권에 유입된 미세한 화산재나 황산염 등과 같은 화산성 에어로졸은 성층권 바람을 타고 수평으로 퍼져 나가는데 중위도와 저위도에서는 2~6주 정도면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상태로 발견될 수도 없는 아주 적은 양의 전하를 띠고 있을 것이다.미소한 전하를 갖춘
입자
가 발견되었다는 예는 그동안 가끔씩 있어왔지만 그 어느 것도 확인되지 않았다.그래서 '쿼크의 사냥'은 계속되고 있다.만약 쿼크가 탐지될 수 없는 것이라면 그들이 실제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어떻게 알 수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0만년 전에 일어났던 것으로 믿어진다. 이 자기장 때문에 천왕성 주변에는 높은 에너지의
입자
로 이루어진 자기권(磁氣圈)이 형성돼 있다. 자기권의 존재를 나타내는 오로라가 천왕성의 어두운 쪽에서 실제로 관측됐다. 고리가 어두운 이유천왕성에도 고리가 있다는 사실은 1977년 세팀의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입자
가 전자라고 생각하면 ${10}^{6}$g/㎤일 것이다. 또 이론적으로 가장 무거운
입자
일 때는 ${10}^{93}$g/㎤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관측치는 이론의 측정치보다 ${10}^{-122}$나 작다.이러한 숫자는 이론으로나 상식으로나 설명하기가 곤란하다. 이것은 이미 1960년대에 소련의 젤도비치(Zeldovich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