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손 대지 말고 화 살표 방향을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잃고 말았죠…. 하지만 똑똑한 섭섭박사님은 길을 잃을 것을 대비해 막다른 길에 미리 작은 방향 표지판을 꽂아두었어요. 그런데 이게 웬일! 누군가 이 화살표 방향을 반대로 바꿔 놓았어요 ... ...
- [News & Issue] 국민 한 명이 국가 이미지 바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경험이 그 사람이 속한 집단 전체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으로 이어진다”며 “의외의 작은 노력으로도 국가 간, 문화 간 갈등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5년 12월 22일자에 게재됐다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위아래 또는 앞뒤로 크게 움직일 수가 있어 입을 크게 벌릴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작은 동물은 그냥 삼키고, 큰 동물은 독을 주입하거나 몸통으로 조여서 움직임을 제한한 뒤 삼키죠. 통째로 삼켜도 다 소화를 시킬 정도로 내장 또한 유연하고, 소화에 적합한 내분비물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조이는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형태로, 우라늄 동위원소 중 우라늄-235를 핵연료로 쓴다. 우라늄-235는 중성자와 반응해 작은 원소로 쪼개지면서(핵분열) 2~3개의 중성자를 내놓는다. 만약 주변에 충분한 양(임계질량)의 우라늄-235가 있으면, 중성자들이 또 다른 우라늄과 연속적으로 반응해 핵분열이 기하급수적으로 일어난다. 만약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미세 웜홀을 개미굴이라고 불렀다. 개미굴을 통해 함대를 보낼 수는 없었지만, 작은 우주선과 정보를 전달할 수는 있었다. 그 덕분에 인류는 좁디 좁은 태양계에서 벗어나 우주로 진출했다. 그 과정은 케플러 64의 3행성에 등대를 관찰할 기지를 세운 과정과 다르지 않았다. 먼저 우주선보다는 드론에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마치 땅을 파고 레고를 세워놓은 것 같아요.하지만 그림을 뒤쪽에서 보면 줄맞춰 서 있던 작은 레고가 통나무처럼 길게 늘어난 것처럼 보이지요? 자세히 보면 그림이 제대로 보이는 지점을 중심으로 그림이 변형돼 있답니다.폴란드 크라쿠프공대 그래픽 공학과의 앤드류 지라스키 교수는 그림을 ...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나는 브누아 만델브로야. 작은 조각들이 전체와 비슷해지는 구조를 연구했지.”“작은 조각이 전체와 비슷해지는…. 아, 알겠다! 프랙탈 말하는 거지요? 똑같은 모양으로 계속 늘어나는 형태요! 음, 그런데 프랙탈과 아저씨가 무슨 관련이 있죠?”“그 단어를 처음 쓴 사람이 바로 나야.”“아!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시작했어야 해요.인류가 육식공룡과 먹이 다툼을 벌이지 않고 잡을 수 있는 단백질원은 작은 포유류나 파충류예요. 그런데 더 쉽게 얻을 수 있는 단백질원이 있어요. 바로 공룡이 낳은 알이지요. 알은 영양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껍데기에 물을 담아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공룡 시대 인류에게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렇다면 흙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먼저, 흙은 암석의 풍화 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작은 알갱이들과 생물이 썩어서 생긴 물질들이 지표에 쌓인 것을 말해요. 풍화란 암석이 그 자리에서 부서지는 현상이고요.암석이 부서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바람이나 물에 의해 깎이기도 하고,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위에서 살며 열매나 씨앗을 먹었다. 반면 대형 익룡들은 해변이나 내륙을 어슬렁거리며 작은 동물을 잡아먹었다. 몸집도 다르고 생활 방식도 달랐기 때문에 이 둘은 경쟁할 필요가 없었다. 백악기 때 새와 대형 익룡이 공존했다는 증거는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우리나라 남해안에서도 거대한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