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67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동네 이웃사촌 네 번째 KAIST 고액기부…동네에 퍼진 '오블리주 그레이 릴레이'
동아사이언스
l
2021.03.14
명품 화장품 업체에 납품하는 화장품 용기 제조회사를 일으켰다. 중국에도 공장 두
곳
을 세우며 사업을 확장해 지금의 재산을 일궜다. KAIST에 따르면 장 회장은 10억 원 이상 KAIST에 기부한 고액기부자 중 최고령이다. 장 회장은 “어느 정도 재산을 모으고 나니 우리 부부가 어려운 사람을 돕는 ... ...
[애니멀리포트]멸종 위기 딛고 펼친 하얀 날갯짓
과학동아
l
2021.03.13
생물도 논을 다시 찾게 된 것이다. “저기 위에 한 마리 있네요.” 하 연구원이 가리킨
곳
을 봤다. 둥지탑 위에 흰 머리가 빼꼼 보였다. “지금 낯선 사람이 왔다고 경계하는 겁니다. 황새는 원래 둥지에 잘 앉지 않는데 지금 앉아있죠? 알을 낳을 준비를 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황새는 일행과 한참 ... ...
[동일본대지진 10년]원자력 정책 얼마나 투명해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것이다. 예를 들어 전세계 우라늄 생산량의 약 4분의 3은 대륙별 원주민들이 사는
곳
인근에 존재한다. 우라늄 채굴 후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삶의 양식을 바꿔놓기도 한다.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의 경우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제시된 ‘그린 ... ...
삼성전자·SK텔레콤·현대모비스 센서 선도기업 민간 R&D협의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센서는 로봇에게 촉감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곳
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ETRI 제공 삼성전자와 SK텔레콤, 현대모비스 등 국내 주요 전자·통신·자동차 부품기업들이 참여하는 민간 센서 연구개발(R&D) 협의체가 구성된다. 올해 하반기까지 구체적인 R&D 투자방안과 정부 R&D 수요를 발굴한다는 ... ...
[의학바이오게시판] 박하영 마크로젠 싱크젠연구소장 선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필요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11일 밝혔다. 차백신 연구소는 지정한 전문 평가기관 2
곳
으로부터 6주에 걸쳐 기술 완성도와 인력 수준, 성장 잠재력 등을 평가받았다. 그 결과 한국생명공학원으로부터는 A등급을, 나이스평가정보로부터는 BBB등급을 각각 획득해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 ... ...
"친구 없이 고립 속에 유년기 보낸 '코로나 세대' 등장"
연합뉴스
l
2021.03.12
이즈리얼은 코로나 세대는 집의 안락함을 누리며 세계 어디든 원하는
곳
에서 일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보고서에서 "C 세대는 삶의 모든 측면에서 기술 없이는 살 수 없을 것"이라며 "그들의 아바타(분신)는 온라인 세상에서 친구들과 함께 최신 문화 운동에 대해 시위를 벌일 것"이라고 ... ...
[동일본대지진 10년] "일본 원전사고 뒤이은 과도한 공포, 냉정한 대응 어렵게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연구원은 ‘대규모 환경방사선 모니터링’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후쿠시마 지역 2200
곳
의 샘플 1만1000개의 토양샘플을 분석한 결과를 설명했다. 미카미 연구원은 “예상보다 2~3배 빠르게 세슘이 사라지고 있다”며 “도심 지역은 산악 지역과 비교해 제염 작업을 통해 세슘 수치가 많이 내려간 ... ...
동해에 규모 6.6지진 발생하면 지진해일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해저 산사태 등으로 바다에 출렁임이 발생하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수심이 깊은
곳
에서 큰 요동이 발생하면 해안가에서는 출렁이는 바닷물이 모두 밀려오며 파도가 급격히 높아지게 된다. 화산분화나 해저 산사태 등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지진해일 중 약 80%는 지진의 여파다. 지각을 크게 흔들어 ... ...
한국 첫 소행성 탐사 타깃 ‘아포피스’ 지구 근방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접근했다가 초당 4.58km의 속도로 지구 근방을 통과했다. 지구와 달 거리의 43배 떨어진
곳
까지 접근했다가 스쳐지나친 것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월부터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OWL-Net)’을 활용한 추적·관측을 통해 이달 10일 관측에 성공하고 영상을 공개했다. 소행성 아포피스는 ... ...
[과학게시판] AI시대 이공계 교육을 위한 혁신 방안 포럼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극지정책 아카이브'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극지정책 아카이브는 기존에 여러
곳
에 흩어져 있던 극지정책 자료를 모아 정리한 것으로 국내 극지정책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극지정책과 국제기구의 최신 정보 등을 담고 있다. 극지연구소는 앞으로 남극세종기지 등에서 일하는 연구원들이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